지표 분석
'글로벌 군사 로봇 시장의 완만한 회복'에 대한 연구 연구에는 이 산업에 대한 자세한 요약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7년까지 제품 범위 및 정교한 산업 통찰력 및 전망에 대한 설명과 함께 주관적인 연구에 대한 고도로 초점을 맞춘 접근 방식이 수행되었습니다. Global Market Insights에서 도입한 이 보고서는 비용, 수요 및 공급 그래프의 매개변수와 관련된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시장 동향 및 거래의 성격.
또한 보고서는 주주 및 저명한 투자자가 제품 및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마케팅하기 위한 고객의 요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책임이 있습니다.
군용 로봇 시장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 보고서에 제공되었습니다. 분석은 전체 과거 데이터, 시장 규모에 대한 유효한 예측, 정성적 통찰력 등을 기반으로 수행됩니다. 본 보고서의 예측은 결론적인 분석기법과 가정을 바탕으로 추론하였습니다. 본질적으로 이 연구 보고서는 다음을 포함하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산업의 모든 측면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분석 저장소처럼 작동합니다.
• 제품 유형 또는 애플리케이션
군용 로봇 시장에서 널리 퍼진 인기 있는 트렌드에 대한 자세한 평가는 미시 경제 지표 및 규제 명령과 함께 보고서에 제공되었습니다. 이 분석을 통해 보고서는 2022-2027년 예측 기간 동안 모든 시장 부문의 수익성을 예측합니다.
전 세계 군사 로봇 시장 보고서에서 분석되는 중요한 요소
– 수익 및 판매 추정: 보고서에 과거 보수 및 판매량이 지정되어 있어 정확한 예산을 준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데이터는 상향식 및 하향식 접근 방식을 통해 세분화되어 전체 시장 점유율을 예측하고 주요 유형 및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보고서의 주요 지역에 대한 예측 수치를 계산합니다.
– 제조 분석: 보고서는 현재 수많은 제품 유형 및 응용 프로그램 측면에서 평가됩니다. 글로벌 군용 로봇 시장 조사는 1 차를 통해 검증 된 제조 공정 분석의 필수 하이라이트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예비 보고서는 산업 성장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조치 과정을 준비하기 위해 산업 전문가와 보고서에 나온 모든 기업의 주요 대표자를 통해 수집되었습니다.
– 경쟁: 주요 경쟁사를 회사 프로필, 제품/서비스 가격, 매출, 용량, 제품 포트폴리오 및 비용을 기준으로 연구하여 현재 경쟁사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합니다.
– 수요 및 공급 및 효과: 군용 로봇 보고서는 또한 생산, 유통, 소비 및 수출입, 손익분기점 및 한계 수익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적용된다면
단일 사용자, 다중 사용자 및 기업 사용자 라이선스란 무엇입니까?
단일 사용자, 다중 사용자 및 기업 라이선스는 주문 보고서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 SWOT 분석, 역학, 동인, 주요 지표 및 2022-2027년 예측 수에 따라 구분됩니다. 단일 사용자 라이센스의 경우 보고서 사본의 배포는 한 명의 사용자에게만 제한됩니다. 용어로 이해하면 다중 사용자 라이선스는 1명 이상의 사용자, 일반적으로 5명의 사용자로 제한됩니다. 반면 기업 라이선스 보유자는 조직 전체에 보고서 사본을 배포할 수 있습니다.
그래픽으로 이 보고서는 2022년에서 2027년(예상) 사이에 해당 지역의 군사 로봇 시장의 생산, 소비, 공급 및 수요, 성장률 및 시장 점유율에 대한 세부 정보와 함께 다음을 포함하는 여러 지역으로 나뉩니다. 북미, 유럽 , 아시아 태평양, 라틴 아메리카, 중동 및 아프리카.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25개의 비즈니스 KPI
KPI (Key Performance Indicators) 는 당신의 비즈니스가 성공적인 항해를 하고 있는지 아니면 항로를 변경해야 하는지를 알려주는 필수적인 비즈니스 나침반입니다.
현실에서 많은 관리자/실무자들이 겪고 있는 문제는 필수적인 몇 개의 지표를 이해하고 정의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면서도, 동시에 쉽게 측정 가능한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모으고 보고하는데 대부분의 시간을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비즈니스 현장에 관련이 있는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할 Top 25 KPI 를 소개합니다.
이것은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KPI들이며, 귀하👍의 사업전략에 가장 연관성이 있는 것을 선택하고 산업에 특화된 지표를 반드시 포함하시기 바랍니다. 디지털마케팅
Top 25 KPI 는 다음의 4가지 비즈니스 영역으로 구분됩니다.
1. 고객 KPI – 5개
1) 순추천 고객지수 Net Promoter Score (NPS)
고객이 당신의 비즈니스를 친구에게 추천할 가능성은 얼마나 되는가?
2) 고객이익률점수 Customer Profitability Score (CPS)
고객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위한 광고, 고객 서비스 등의 비용을 고려한 개별 고객별 기여 이익이 얼마인가?
3) 고객생애가치 Customer Lifetime Value (CLV)
현재 보유 고객별로 과거 또는 미래에 예상되는 구매액의 합은 얼마인가? 상대적으로 가치가 높은 고객은 누구인가?
4) 고객보유율/재방문율 Customer Retention Rate (CRR)
얼마나 많은 고객이 재구매/반복구매를 위해서 또 올 것인가? 고객들이 당신의 브랜드, 기업, 서비스 얼마나 충성적인가?
5) 전환률 Conversion Rate
고객문의, 영업콜, 웹페이지 방문을 얼마나 잘 구매고객으로 전환시키고 있는가?
6) 상대적 점유율 Relative Market Share
동일시장내 당신의 경쟁사와 비교했을때, 전체 파이중에서 당신의 조각이 얼마나 큰가?
2. 재무적인 성과 KPI – 7개
1) 매출성장률 Revenue Growth Rate
당신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는가?
2) 순이익 Net Profit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순전한 이익
3) 순이익률 Net Profit Margin
순이익을 세후 순매출액으로 나눈 비율. 최종적으로 주주에게 남은 부분의 정도
4) 매출총이익률 Gross Profit Margin
매출총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 매출원가가 얼마나 효율적인지를 평가하는 지표 (기업의 부가가치 창출 능력)
5) 영업이익률 Operating Profit Margin
영업이익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 제품판매로 인한 이익의 정도로서 상품/서비스/ 운영의 경쟁력을 나타냄
6) 투자수익율 Return on Investment
회사의 운영 관점 (투자에 대한 비용)에서 투자대비 수입의 정도. 사업부/사업의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측정 관리하기 위한 지표
7) 현금전환기간 Cash Conversion Cycle
=재고자산회전기간 + 매출채권회전기간 + 매입채무회전기간
사업을 영위하는 전 과정에 있어서 현금의 유입에 걸리는 시간이 얼마인가?
3. 내부 프로세스 KPI - 8개
1) 역량 가동률 Capability Utilization Rate (CUR)
=(실제 Output/ 잠재 Output) X 100
당신이 가용한 자원을 활용한 업무의 총량으로 잠재력을 달성하고 있는가? 현재의 운영 효율을 측정하는 지표
2) 프로젝트일정편차 Project Schedule Variance (PSV)
=(프로젝트의) 벌어들인 가치 – (프로젝트의) 예정된 가치
당신의 프로젝트가 예정한 시간에 완료되는가?
3) 프로젝트비용편차 Project Cost Variance (PCV)
= (프로젝트의) 벌어들인 가치 – (프로젝트의) 실제 비용
당신의 프로젝트가 예산을 초과하지 않고 달성되는가?
4) 프로젝트성과가치 Earned Value (EV) metric
당신의 회사가 진행중인 프로젝트가 벌어들이고 있는 가치(매출)
5) 주문완료주기 Order Fulfillment Cycle Time (OFCT)
고객이 주문 이후 제품/서비스가 딜리버리 될 때까지 소요된 시간
6) 주문정시달성율 Delivery in Full on Time (DIFOT) rate
전체 고객주문 건수 대비 정시에 채워진 고객 주문 건수 비율. 딜리버리 성과를 측정함
7) 품질지수 Quality Index
당신의 제품 혹은 서비스의 품질이 고객이 기대하는 수준만큼 높은가?
8) 프로세스 다운타임 Process downtime level
서비스 불가, 기술적인 장애, 혹은 직원의 병가 등으로 인해 허비되는 시간이 얼마인가?
4. 임직원/HR KPI – 5개
1) 직원옹호점수 Staff Advocacy Score
당신의 직원이 직장으로서 회사를 추천할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가?
2) 임직원 업무 관여도 Employee Engagement Level
임직원의 행동이 비즈니스의 전체 목표달성에 어떻게 기여하는가?
조직과 임직원간 관계의 우선순위에 대한 정도.
3) 브래드포드 결근지수 Absenteeism Bradford Factor
예상치 못한 직원의 (무단)결근에 따른 영향(SWOT 분석, 역학, 동인, 주요 지표 및 2022-2027년 예측 비용)은이 얼마나 되는가?
4) 인당 부가가치 창출도 Human Capital Value Added (HCVA)
=(영업이익 + (총보상 + 복리후생))/ 직원수
개별 직원 1인당 창출하는 재무적인 부가가치
5) 360도 피드백 비교 360-degree feedback score
서로에 대한 평가와 본인들에 대한 평가를 비교하여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상사, 부하, 동료, 본인, 고객 등 다양한 평가자에 의한 평가
Richard Jo
CEO & Founder at Performars “If you think you can you can. and if you think you can't you're right” Hands-on experience from strategy shaping to business operations in a cross-cultural market environment. Senior trainer at Richardson. Cross-cultural competence Coach. Worked at IBM, Deloitte, Gartner, GfK, Fuji Xerox.
[분석+]에스씨엠생명과학, 급성췌장염 2a상 1차 유효성 지표 미충족
경기도와 시흥시가 조성 중인 서울대 시흥캠퍼스에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캠퍼스’ 유치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경기도는 이곳에 국내외 의료·바이오기업을 입수시켜 경기 서부권을 대표하는 의료·바이오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와 임병택 시흥시장, 오세정 서울대 총장은 1일 경기도청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 서부권 글로벌 의료-바이오 혁신 지구(클러스터) 조성 및 산업육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세 기관은 경기 서부권 중심에 기술 기반 의료·바이오 전략 거점을 조성하고, 보건복지부가 추진하는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캠퍼스’를 서울대 시흥캠퍼스에 유치하는 등의 사업을 추진하기로 약속했다.경기도는 이 협약을 기점으로 경기 서부권에 산업계, SWOT 분석, 역학, 동인, 주요 지표 및 2022-2027년 예측 학계, 연구소, 병원 등과 연계한 글로벌 바이오 허브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마련했다.시흥시는 인천공항, 인천항, 광명KTX 등 광역교통망과 배곧지구 경제자유구역 및 풍부한 개발 가용지를 보유한 경기 서부권의 거점도시다. 서울대 시흥캠퍼스를 유치해 교육·의료 지구(클러스터) 조성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곳의 중심지엔 시흥배곧서울대병원(가칭)은 전국 최초로 진료와 의료연구를 융합시킨 병원으로 오는 2026년 준공하고, 2027년 상반기 개원할 예정이다. 지난 2월 세계보건기구(WHO)는 중‧저소득 국가의 백신 자급화를 위한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 국가로 한국을 단독 선정한 바 있다. 이에 보건복지부는 백신·바이오 의약품 생산공정 교육과 훈련을 맡는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캠퍼스’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수원=김대훈 기자 [email protected]
LG화학, 통풍신약 두번째 글로벌 3상 美 FDA 신청
LG화학이 통풍 환자들에게 최우선적으로 적용 가능한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추가적인 글로벌 임상 3상을 진행할 계획이다.LG화학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자체 개발 통풍신약 티굴릭소스타트의 두번째 임상 3상(EURELIA_2 Study)을 신청했다고 1일 밝혔다. 한 달 전 LG화학은 위약 대조군 3상(EURELIA_1 Study)을 FDA에 신청했다. 이번 임상은 통풍 1차 치료제 성분인 알로푸리놀을 대조군으로 한다. 미국과 유럽 등의 고요산혈증 동반 성인 통풍 환자 2600여명을 대상으로 12개월 장기 복용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앞서 신청한 위약 대조군 3상을 합하면 총 3000여명의 환자가 티굴릭소스타트의 최종 임상에 참여하게 된다. 이번 시험의 1차 유효성 평가지표는 복용 4, 5, 6개월째 측정한 혈청요산농도가 모두 dL당 6mg 미만인 환자 비율로 설정했다. 2차 평가지표는 복용 4, 5, 6개월째 측정한 혈청요산농도가 모두 5mg 미만인 환자 비율, 복용 6개월째부터 12개월째까지 통풍 발작을 1번 이상 경험한 환자 비율, 12개월 시점 통풍결절이 1개 이상 완전 소실된 환자 비율 등이다. LG화학은 차별화된 임상결과를 바탕으로 1차 치료제 지위를 확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티굴릭소스타트는 요산 생성 효소인 잔틴 옥시다제(XO)의 발현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2상 결과, 신속하고 강력한 요산 강하 효과를 바탕으로 기존 치료제와 차별화된 신약 개발 가능성을 확인했다. 위약군과 유사한 수준의 안전성도 입증했다.시장조사기관(Coherent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글로벌 통풍 치료제 시장은 인구고령화 및 비만 인구 증가로 2019년 3조원(26억달러)에서 2027년 5조원(43억달러) 규모로 확대가 예상된다.한민수 기자 [email protected]
비엘, 국제학회서 ‘BLS-H01’ 항암 연구성과 발표
비엘은 분자표적 및 암치료법에 관한 국제학회(AACR-NCI-EORTC)에서 ‘BLS-H01’의 연구성과가 발표로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AACR-NCI-EORTC는 미국암학회(AACR)와 미국국립암연구소(NCI), 유럽암학회(EORTC)가 공동으로 주관해 매년 유럽과 미국에서 열리는 국제학회다. 최신 항암 연구 결과 및 주요 제약사의 임상 성과가 발표된다. 올해 행사는 다음달 26일(현지시간)부터 3일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개최된다.비엘에 따르면 BLS-H01의 핵심 성분인 폴리감마글루탐산(γ-PGA)은 면역조절 수용체에 작용해 수지상세포와 NK세포, T세포의 활성화를 이끈다. BLS-H01은 면역 및 암 억제 세포 활성화 기전으로 바이러스 및 세균에 감염된 세포 또는 암으로 이형화된 세포를 제거한다는 설명이다. 이번 학회에서 비엘은 여러 암종에 대해 BLS-H01의 효능 및 안전성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면역항암제와 병용 시 부작용 없이 항암 효능을 높이는 효과를 관찰한 연구다.비엘 관계자는 “BLS-H01은 면역세포 활성을 통해 종양미세환경을 조절해 면역항암제의 효능을 높여준다”며 “이번 연구성과를 토대로 난치성 고형암에 대한 임상 진입 및 기술수출을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이도희 기자 [email protected]
한화시스템, ESG 평가·공시에 종합 대응…. ESG 경영관리시스템 'ESG ON' 공개
(대표이사 어성철) ICT 부문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관리시스템 'ESG ON'을 1일 공식 론칭한다. 'ESG ON'은 ESG 경영에 스위치를 켜고, 접속(ON)만 해도 ESG 정보·성과 관리, 평가 및 공시 대응이 한 번에 가능하다는 의미로 지어졌다.
ESG 업무 효율화와 선제적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둔 'ESG ON'은 ESG 평가·공시에 필요한 광범위한 비재무정보를 통합관리하고, 수시로 변하는 ESG 지표를 적시에 반영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제공한다. 기업이 'ESG ON'SWOT 분석, 역학, 동인, 주요 지표 및 2022-2027년 예측 에 접속해 주요 데이터를 입력하면 ESG 종합 점수와 함께 핵심 지표별 성과 현황을 타 기업과 비교·분석해 볼 수 있으며, 관련된 외부 기관 지표도 동시에 파악 가능하다. 또한 클라우드(SaaS) 기반으로 기업들에게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 시 기업의 요구사항을 반영한 구축 서비스(On-Premise)도 가능하다.
한화시스템 'ESG ON'은 글로벌 대표 투자정보 제공기관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와 국내 대표 ESG 평가기관인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의 ESG 진단 방법을 참고하여 만들어졌다. 기업이 속한 산업군 뿐 아니라, ▲기업별 특성을 반영하는 유연한 지표 설정 및 변경관리, ▲단일 기업 내 복수의 산업군에 대한 진단 평가, ▲다양한 외부 기관 지표와의 비교분석 및 지표별 공시 가이던스 제공 등 다른 ESG 경영관리시스템 대비 차별화 된 특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기업 내·외부에 산재된 ESG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통합하여 ESG 경영을 체계적·효율적으로 지원하는 ESG 통합지원 시스템으로, 주요 기능으로 ▲ESG 데이터 수집과 성과평가·분석 등의 ESG 경영관리 업무 전반 지원, ▲기업별 협력사의 ESG 수준 진단을 통해 공급망 리스크 선제적 관리, ▲국내외 주요 10개 기관의 1,000여개 지표 분석을 통해 설계된 신뢰성 있는 ESG 진단 프레임워크(framework) 등을 제공한다.
한화시스템 'ESG ON'은 사용자 편의를 위해 기획단계부터 사용자 경험을 고려하여 화면 및 기능을 설계(UI/UX)하였으며, 시각화(대시보드)를 통해 ESG 성과 현황을 직관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구성했다. 사용자가 설정하기엔 자칫 복잡할 수 있는 ESG 지표 정보를 한 번의 터치만으로 손쉽게 내려 받을 수 있는 프리셋(preset) 기능을 제공하며, 'ESG ON'에서 제공하는 진단 리포트를 다운로드 받아서 내·외부 보고용으로도 활용가능하다.
뉴스제공=한화시스템, 기업이 작성하여 배포한 보도자료.
당신이 좋아할 만한 뉴스
한화시스템, 쌀 1000포대 ‘사랑의 쌀 나눔’ 활동 진행. …지역경제 활성화 적극 나서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은 지난 30일 회사와 임직원들의 기금을 모아 지역사회 취약계층에 쌀 1000포대(1포대, 20kg)를 기부했다고 밝혔다.‘구미시 쌀 판매 활성화’사업과 연계한 이번 기부 활동은 지역사회 경제 활성화와 상생을 위해 진행됐다.한화시스템이 구미시농협쌀조합 공동사업법인을 통해 구매한 백미 20톤은 ▲대한적십자사 서울지사 ▲경기지사 ▲경북지사를 통해 각 지역의 취약계층 가구에 전달될 예정이다.이정모 한화시스템 구미사업장장은 “지속적인 백미 가격 폭락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농가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침체되어 있는 구미 지역사회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며,“앞으로도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소외계층을 위한 다양한 지원활동을 통해 ESG경영을 실천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다”라고 전했다.
한화시스템, 글로벌 대표 우주항공 기업과. 'UAM 밸류체인' 동맹 맺는다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글로벌 우주항공 산업 '메이저 플레이어'와 함께 UAM 사업모델 구체화를 추진한다.한화시스템은 지난 19일(현지 시각) 영국 판버러 에어쇼(Farnborough International Airshow 2022) 현장에서 미국의 방산·우주항공 기업 허니웰(Honeywell)과 '미래형 항공기체(AAV·Advanced Air Vehicle) 체계 공동개발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허니웰은 지난 2020년 미국 30개 대표기업으로 구성된 다우존스지수에 편입된 글로벌 대표 밀리테크 기업이다.한화시스템과 허니웰은 UAM 활용을 위해 현재 개발 중인 1세대 기체 '전기 수직 이착륙 항공기(eVTOL)'와 자율비행 및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2·3세대 미래형 비행체(AAV)'를 위해 손을 잡는다. 양사는 ▲2·3세대의 AAV 분야와 하이브리드 전기추진 시스템 관련 사업협력 ▲국내외 시장 신규 서비스 발굴과 수요 창출 등에서 협업을 추진한다.SWOT 분석, 역학, 동인, 주요 지표 및 2022-2027년 예측 한화시스템은 다음 날인 20일(현지 시각),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함께 유럽 굴지의 우주항공 및 방산 기업인 프랑스 사프란(Safran) 그룹과 군·민수 분야부터 미래 우주·모빌리티 산업까지 '전방위적 사업협력 강화를 위한 다자 업무협약(MOU)' 맺었다.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사프란은 ▲UAM 시장 확대에 필수적인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경제성·효율성을 갖춘 추진 시스템 ▲위성발사 서비스 분야 등에서 상호협력 가능한 사업을 적극 발굴하기로 했다. 3사는 공동 워킹그룹 구성해 우주항공 산업 부문 협력을 보다 구체화하겠다는 계획이다.유동완 한화시스템 UAM 사업부장은“한화시스템이 글로벌 UAM 밸류체인(가치사슬)에서 주도적 위치를 선점하도록 기체개발‧버티포트‧교통관리 서비
직경 6m·높이 6m의 실물크기 UAM 대형날개 '최초 공개'. 한화시스템, 英 판버러 에어쇼 첫 참가… UAM·우주항공·첨단 방산 기술역량 소개
한화시스템(대표이사 어성철)이 영국 판버러 에어쇼에 처음으로 참가하며, 글로벌 UAM·우주항공·첨단 방산 시장 판로 개척에 나선다.한화시스템은 18일부터 22일까지 5일간 영국 런던 인근 햄프셔카운티에서 열리는 '판버러 에어쇼 2022(Farnborough International Airshow 2022)'에서 230㎡(70여평) 규모의 대형 부스를 마련하고, UAM과 방위산업(Defense) 두 개의 존(구역)을 통해 지상?공중?우주를 잇는 초연결?초지능?초융합 기술과 사업 역량을 선보인다.세계 최대 규모의 항공·방산 전시회인 판버러 에어쇼는 파리·싱가포르 에어쇼와 함께 '세계 3대 에어쇼'로 꼽히며, 짝수 해 7월에 열리고 있다. 올해는 국내외 1500개 글로벌 기업과 기관이 참여하며, 8만명 이상이 방문할 것으로 기대된다. 코로나 확산으로 지난 2020년 행사가 취소돼 4년 만에 개최다.UAM 존에서 한화시스템은 미국 오버에어(Overair) 사와 공동개발 중인 '버터플라이(Butterfly)' 기체의 실물크기 로터(대형 회전날개) 목업을 최초 공개한다. 블레이드(프로펠러)가 3개 달린 로터는 직경이 6m, 높이는 6m에 이른다.한화시스템은 이 자리에서 로터 안 모터가 '전기추진 시스템'으로 작동되는 방식을 선보인다. 버터플라이 기체의 안전·효율·속도·저소음·친환경성을 실현하는 'OSTR(Optimum Speed Tiltrotor, 최적 속도 틸트로터)' 특허와 블레이드 개별 제어를 통해 안전성을 높이는 능동 진동저감 기술인 'IBC(Individual Blade Control)' 기술도 함께 소개한다. 버터플라이는 OSTR과 IBC 기술로 구현한 4개의 틸트로터(Tilt-rotor·수직 이착륙 프로펠러 운용 시스템)를 전후방 날개에 배치, 1개의 로터가 고장나도 나머지만으로 안전 비행이 가능하다. 한화시스템은 오버에어와 함께 202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