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 위험 감소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4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투자주식수에 따른 위험의 감소

This study aims to show the risk reduction effects of round-the-clock trading environment. We analyse the trading results of the currency futures contracts in CME Globex which are open 23 hours a day. These include Euro FX, Japanese Yen, Australian Dollar, and British Pound from January 2005 to August 2013. We generate new price series using only daytime prices during about 7-hour period. This hypothetical “G” data series may have greater gap risk than the original “R” data series. Empirical results show the trading risk reduction effects, that is R data series have higher profits and lower risks than G data series.

키워드 열기/닫기 버튼

피인용 횟수

KCI에서 이 논문을 인용한 논문의 수는 0건 입니다.

참고문헌 (17) 열기/닫기 버튼 * 2020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

논문 인용하기 닫기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TY - JOUR
AU - 최흥식
AU - 김선웅
AU - 박은진
TI -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T2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JO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PY - 2014
VL - 21
IS - 4
PB - 한국데이터전략학회
SP - 1
EP - 13
SN - 1598-6284
AB - This study aims to show the risk reduction effects of round-the-clock trading environment. We analyse the trading results of the currency futures contracts in CME Globex which are open 23 hours a day. These include Euro FX, Japanese Yen, Australian Dollar, and British Pound from January 2005 to August 2013. We generate new price series using only daytime prices during about 7-hour period. This hypothetical “G” data series may have greater gap risk than the original “R” data series. Empirical results show the trading risk reduction effects, that is R data series have higher profits and lower risks than G data series.
KW - Gap Risk, Risk Reduction Effects, Currency Futures, Futures Trading
DO -
UR -
ER -

최흥식, 김선웅 and 박은진. (2014).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1(4), 1-13.

최흥식, 김선웅 and 박은진. 2014,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vol.21, no.4 pp.1-13.

최흥식, 김선웅, 박은진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1.4 pp.1-13 (2014) : 1.

최흥식, 김선웅, 박은진.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2014; 21(4), 1-13.

최흥식, 김선웅 and 박은진.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1, no.4 (2014) : 1-13.

최흥식; 김선웅; 박은진.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1(4), 1-13.

최흥식; 김선웅; 박은진.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14; 21(4) 1-13.

최흥식, 김선웅, 박은진.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2014; 21(4), 1-13.

최흥식, 김선웅 and 박은진. "통화선물거래의 거래위험 감소효과에 관한 연구"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1, no.4 (2014) : 1-13.

기성 세대 투자자가 더 많은 위험 감소

슈로더 리서치에 의하면, 젊은 투자자뿐만 아니라 기성 세대 투자자도 자신이 저축해온 돈을 암호화폐, 그리고 특정 섹터(의료 및 기술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과 기타 암호화폐에 대한 젊은 투자자들의 관심은 익히 알려져 있지만, 슈로더의 데이터는 기성 세대 저축자들(75세 이상 포함)의 관심도 놀라운 정도라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55세부터 74세 사이 투자자들의 3분의 1(34%)은 2021년 봄까지의 지난 12개월 동안 암호화폐를 매수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이 연령대의 응답자들 중 16%에게 첫 투자였으며, 17%는 기존 보유 물량을 늘리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75세 이상 연령대에서는, 그보다 적지만 여전히 상당한 비율인 15%가 동일 기간에 암호화폐에 투자했습니다.

이는 33개 지역의 23,000명 이상의 답변과 의견을 바탕으로 투자자들의 동향을 집중적으로 보여주는 대표적인 연례 설문조사인 슈로더 글로벌 투자자 스터디 2021에서 확인된 결과입니다. 데이터는 2021년 3월부터 8월 사이에 수집되었습니다.

슈로더의 결과는, 18-41세 사이의 투자자들이 암호화폐에 가장 적극적이지만(아래 표 참조) 젊은 연령대와 높은 연령대의 차이는 예상에 비해 적다는 점을 확인해줍니다. 예를 들어, 18-22세 투자자들 중 24%는 지난 1년 동안 암호화폐에 처음으로 투자했는데, 42-54세 연령대에서도 그와 비슷한 수준인 22%가 처음으로 암호화폐에 투자했습니다.

603281_KOKO_SC_WebTable_v1_Artboard-1.png

모든 세대가 더 많은 리스크를 감수하고 있습니다

모든 연령대 투자자들 중 3분의 1 이상은 봉쇄조치 해제 후 고위험 투자에 더 많이 배분할 예정이거나 더 많이 배분했다고 응답했습니다. 당연한 일일지 모르지만, 젊은 투자자들은 리스크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이는데, 18-37세 투자자의 44%는 더 위험한 투자에 배분할 예정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51-70세 투자자들의 28%, 그리고 71세 이상 투자자들의 22%도 더 많은 리스크를 감수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603281_KOKO_SC_WebTable_v1_Artboard-2.png

부상하고 있는 섹터들에 대한 인기 증가

저축자들이 더 리스크가 높거나 새로운 자산으로 이동하면서(아래 차트 참조), 암호화폐와 함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수요도 커지고 있습니다. 모든 연령대의 투자자에서, 전기차 관련 주식 및 펀드의 인기가 가장 높았으며(24%) 생명공학 또는 제약 주식 및 펀드의 인기가 두 번째로 높았습니다(23%). 인터넷 및 기술 주식, 그리고 암호화폐는 공동 3위를 차지했습니다.

603281_KOKO_SC_WebTable_v1_Artboard-3.png

다시 언급하지만, 연령대 별로 보면 나이가 많은 저축자들도 이러한 자산에 관심이 많습니다. 55-74세 투자자들 중 거의 절반(45%)은 전기차 펀드 또는 주식에 처음으로 투자했거나, 투자하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75세 이상 응답자들 중 27%도 위와 같이 응답했습니다.

603281_KOKO_SC_WebTable_v1_Artboard-4.png

“슈로더의 리서치 결과는, 거래 위험 감소 수많은 투자자들이 코로나 대유행 이후 수익률을 추구하기 위해 이제 더 많은 리스크를 감수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라고 슈로더의 멀티에셋 전략 총책임자 Lesley-Ann Morgan은 말합니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경제 혼란도 이러한 추세에 부분적으로 기여했다고 그녀는 언급합니다. “저금리 환경에서, 좀더 리스크가 높은 투자가 예전보다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었으며 이는 당연한 결과입니다.”

최근 수 년간, 인기가 높은 일부 암호화폐를 포함한 수많은 투자 및 보유종목의 가치가 급격히 상승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지속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러한 결과는 더 많은 리스크를 감수할 의향이 있는 거래 위험 감소 투자자의 비율이 증가했음을 보여주지만, 투자자들 중 63%가 투자 자산의 성과가 자신의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했음을 감안할 때 이들은 현명하게 리스크에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라고 그녀는 경고합니다.

ScienceON Chatbot

Analysis for Characteristics of the Credit Transaction by Intermediary Wholesalers and Measures for Reducing Transaction Risk

가락동 도매시장에서 중도매인의 판매대금 결제는 외상거래가 56.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도매인에게 외상거래는 악성채권으로 인한 경영상 어려움과 추심업무 등 추가적인 업무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유통마진의 구성 부분 중 외상거래가 유통마진에 어떻게 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우선 중도매인이 외상거래를 할 경우 현금거래시보다 구매자에게 얼마를 더 받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 중도매인의 거래경험과 월매출규모, 월 평균 외상잔액, 연간 구.

가락동 도매시장에서 중도매인의 판매대금 결제는 외상거래가 56.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도매인에게 외상거래는 악성채권으로 인한 경영상 어려움과 추심업무 등 추가적인 업무를 발생시키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농산물 도매시장에서 유통마진의 구성 부분 중 외상거래가 유통마진에 어떻게 또 얼마만큼 영향을 주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우선 중도매인이 외상거래를 할 경우 현금거래시보다 구매자에게 얼마를 더 받고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다음으로 중도매인의 거래경험과 월매출규모, 월 평균 외상잔액, 연간 구매자로부터 평균 회수 못하는 부실채권, 월 외상거래비율 등이 유통마진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또한 도매시장에서 외상거래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중도매인의 인식 정도와 부류(과일과 채소)별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조사방법으로 채소, 과일중도매인을 대상으로 122명의 중도매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분석 결과 시장에서 상품판매시 평균적으로 적용하는 도매거래 마진은 과일류가 9.58%였으며 채소류는 7.03%로 과일류 중도매인의 마진율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또한 현금 거래할 경우 할인율은 과일류가 4.92%, 채소류가 3.58%로 나타났다. 중도매인의 거래관계에서 유통마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 중도매인의 외상거래 경험이 길수록, 월 매출액이 많을수록 유통마진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월 평균 외상 잔액이나 연간 구매자로부터 회수 못하는 금액이 많을수록 유통마진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도매시장에서 외상거래는 유통마진을 증대시킴으로서 판매가격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Credit transaction forms 56.4 percent of the total sales by intermediary wholesalers in the Garakdong Wholesale Market. The credit transaction causes the intermediary wholesalers to suffer a bottleneck in management due to uncollectable accounts and to have an additional task, retrieval of sale cred.

Credit transaction forms 56.4 percent of the total sales by intermediary wholesalers in the Garakdong Wholesale Market. The credit transaction causes the intermediary wholesalers to suffer a bottleneck in management due to uncollectable accounts and to have an additional task, retrieval of sale cred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much the credit transaction influence the marketing margin in the farm-product wholesale market. This study specifically surveyed how much the intermediary wholesalers put an additional price due to the credit transaction. That is, how much the wholesalers pass the cost incurred by the credit transaction onto purchasers. The main analysis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experience of the intermediary wholesalers", "size of monthly sales", "monthly credit balance in average", "annual frozen credit", and "monthly rate of the credit transaction" on the marketing margin. In addition, this study asked intermediary wholesalers about probable methods for preventing the credit transaction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their opinions according to their handling products (fruit and vegetable). To acquire the data,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mpleted with 122 intermediary wholesalers in the Garakdong Wholesale Market. The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the average marginal profit in the wholesale transaction was 9.58% for fruits and 7.03% for vegetables, indicating that the margin charged by fruit intermediary wholesalers was higher than that charged by vegetable intermediary wholesalers. The survey further indicate that in case of cash transaction, discount rate was 4.92% for fruits and 3.58% for vegetables. Regard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marketing margin charged by the intermediary wholesaler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esent that if the wholesalers had more experience in business and the size of the wholesalers' monthly sales were larger, the marketing margin was smaller. The results further show that if monthly credit balance or annual frozen credit were bigger, the marketing margin was larger.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redit transaction in the wholesale market must have increased the marketing margin and therefore the sale price as well.

펀드기초상식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말은 자주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다 담으면 한 바구니를 떨어뜨렸을 경우 모두 깨어지게 되지만 나누어 담게 되면 그 중 하나를 떨어뜨리더라도 나머지 바구니 안의 계란은 지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투자에 수반되는 위험은 나누어 분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분산투자에 따른 위험 감소

  • 분산투자는 특정 산업 또는 기업에 각별한 영향을 미치는 비체계적인 위험 혹은 고유위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경제, 정치 및 사회적인 환경변화와 같이 분산화가 안 되는 체계적 위험 혹은 시장위험도 있는데 이들은 모든 유가증권의 수익에 영향을 미칩니다.
  • 설명한 대로 포트폴리오 내의 주식의 수를 늘려도 시장위험은 줄지 않음을 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이런 시장의 위험을 분산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분산을 하셔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포트폴리오에 투자하는 주식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 고유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분산투자에 대한 고려를 추천드립니다.

투자주식수에 따른 위험의 감소

4가지의 분산

  • 표에 나타나 있는 대로 분산에는 크게 자산, 시간, 지역, 통화의 분산을 할 수 있습니다.
  • 분산투자의 중요성은 연구를 통해서도 입증이 되었는데, 투자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에서 가장 큰 기여를 하는 것은 투자시기나 종목 선정이 아닌 자산배분, 즉 분산을 어떤 자산 또는 지역에 어느 비율로 투자를 결정하느냐는 것입니다.
  • 이를테면 한국주식이라는 자산에 어떤 비중을 투자하겠다는 결정이, 한국 주식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선택하는 결정보다 수익률 결정에 더욱 중요하게 작용했다는 것입니다.

안정적인 수익추구를 위한 분산투자 방법은 현금/예금/주식/채권/부동산등 자산을 분산하는 방법과 단기투자,중기투자. 장기투자 그리고 적립식투자등 시간을 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와 함께 한국주식, 한국채권, 해외주식,해외채권등 지역을 분산하는 방법과 더불어 미달러화, 유로화등 통화를 분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종목선정4.8%, 투자시기1.8%, 기타2.1%, 분산투자91.3%

자산의 분산

  • 분산투자를 통한 포트폴리오 최적화
    • 잘 분산된 투자는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 즉, 어떤 시장상황에 대해 같이 움직이는 정도가 낮은 것을 선택했을 때 효과가 더 커집니다. 아래 표에서 보는 것처럼 상관관계가 높은 자산에의 분산은 움직이는 방향이 같은 만큼 분산의 효과를 누리기 어렵습니다.

    분산투자되지 않음 - 분산되는 경우 시장움직임과의 연동성을 감소시켜 분산투자 효과를 누리실 수 있습니다.

    분산투자 됨 - 분산되는 경우 시장움직임과의 연동성을 감소시켜 분산투자 효과를 누리실 수 있습니다.

    이처럼 낮은 상관관계, 즉 어떠한 상황에 반응하는 것의 양상이 다른 투자들을 잘 조합하는 경우에는 최소 리스크를 갖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도 있으며 같은 위험수준에서도 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시간의 분산

    • 시간의 분산 - 매입 평균단가 하락 (Dollar Cost Averaging)
      • 분산 중 시간의 분산은 적립식 펀드를 대표적인 예로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 적립식 투자란 시장상황에 관계없이 일정금액을 매월 또는 일정기간에 한번씩 장기적으로 적립하는 것을 말합니다.
      •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장점은 매입 평균단가 하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참조

      주식시장이 하락할때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로 적립식투자액, 주식의 단가, 주식의 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거래 위험 감소
      적립식 투자액 주식의 단가주식의 수
      300$ 25$ 12
      300$ 15$ 20
      300$ 20$ 15
      300$ 10$ 30
      300$ 5$ 60
      합계$1500 합계$75 합계$137

      평균 구입단가 = $10.95($1500/137)

      단순 평가주가 = $15.00($75/5)

      주식시장이 상승할때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 주식시장이 상승할 때로 적립식투자액, 주식의 단가, 주식의 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적립식 투자액 주식의 단가 주식의 수
      300$ 5$ 60
      300$ 15$ 20
      300$ 10$ 30
      300$ 15$ 20
      300$ 25$ 12
      합계$1500 합계$70 합계$142

      평균 구입단가 = $10.57($1500/142)

      단순 평가주가 = $14.00($70/5)

      •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변동성이 있는 자산인 주식 또는 주식형 펀드에 투자 할 시 한번에 투자하는 것 보다는 나누어 투자할 경우 시장의 방향이 하락할 때나 상승 할 때 모두 평균단가를 낮추는 효과적인 투자가 가능했습니다.

      주식처럼 변동성이 있는 자산의 경우는 이처럼 시간의 분산을 통해서 더 좋은 투자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지역의 분산

      • 세계는 넓고 투자할 곳은 많다.
        • 요즘은 펀드 판매사에 가시면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 다양한 지역 및 섹터 (산업 군)에 투자하는 펀드에도 쉽게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 한국뿐 아니라 세계에 투자하는 펀드에 포트폴리오 중 일부를 할애하라고 말씀 드리는 이유는 아래의 표가 잘 설명해 드리고 있습니다.
        • 이 표는 전세계 주식 및 채권시장에서 한국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한국시장의 비중이 각각1%정도임을 본다면, 더 크고 더 많은 기회가 있는 시장을 간과하고 한국시장에 투자하는 상품으로만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는 것은 지나치게 편중된 투자일 것입니다.

        국가, 비율 순서로 설명: North America:51%, Eurozone:30%, Japan:9%, Hong kong:2%, China:1%, austral asia: 2%, Taiwan: 1%, korea:1%, Singapora: 0.4%, Thailand:0.1%, other: 3%

        국가, 비율 순서로 설명: USA:49%, Eurozone:18%, Japan:20%, UK:2%, Canada:2%, China:1%, Hk:0.2%, korea:1%, Taiwan: 0.3%, korea:1%,Singapora: 0.2%, Thailand:0.1%, other:7%

        • 아래의 표는 2001년에서 2004년까지 가장 좋은 수익을 냈던 주식시장의 순위표입니다. 표에서 볼 수 있듯, 어느 한 시장이 지속적으로 1등 수익을 내는 것은 어렵습니다. 자동차 경주가 있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 1등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이기 위해선, 1대의 자동차를 출전 시키는 것보다 여러 대의 자동차를 출전 시켜야 할 것입니다.
        글로벌 주식 시장의 상대 순위 (2001~2004) 글로벌 주식 시장의 상대 순위(2001~2004) - 글로벌 주식 시장의 상대 순위(2001~2004)로 1~5위를 2001년 ~ 2004년까지 구성하였습니다.
        번호 2001 2002 2003 2004
        1 한국 한국 브라질 브라질
        2 미국 일본 일본 한국
        3 영국 영국 한국 영국
        4 브라질 미국 영국 일본
        5 일본 브라질 미국 미국

        이처럼 각국의 증시전망에 대해서는 여러 증권사에서 전망을 발표하지만 각 증권사마다 전망이 틀리기도 하고, 말 그대로 전망일 뿐 결과와 항상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통화의 분산

        • 다양한 통화로 투자
          • 지역별로 분산이 된다면 자연스럽게 통화의 분산도 같이 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외펀드의 경우는 같은 펀드라고 하더라도 기준통화, 즉 기준가가 산출되는 통화가 복수인 경우도 있습니다. 지역별로 분산했다 할 지라도 통화가 같다면 통화적인 측면에서 분산이 이루어졌다고는 보기 어려울 것입니다.
          • 환율을 전망한다는 것은 다른 어떤 전망보다도 어렵다고 합니다. 이는 여러 가지 환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각국 중앙은행의 환율방어 의지를 예측하기가 힘들기 때문일 것입니다. 따라서 투자하시는 통화의 경우도 어느 정도 분산해서 투자 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투자의 귀재인 워렌 버펫도 ‘1년 동안의 수익에 너무 집착하지 말라. 대신 4~5년간의 평균 수익률을 고려하라’고 했습니다. 단기간의 수익에 집착하게 되면 시장의 흐름 및 자신의 장기투자목표에서 벗어나기 쉽습니다.

          • 투자라는 것은 위험을 내포한 자산을 택하는 것인 만큼 단기간 동안에 무위험 자산보다 높은 수익을 올리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 따라서 항상 투자는 장기간으로 해야 한다는 말씀을 들으실 것입니다.
          • 이는 아래의 사례를 통해서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1990년 2월부터 2005년 10월까지 15년간의 투자실적을 보면 아래표와 같습니다. 전세계적인 주식시장의 침체기를 2000년부터 3년간 겪었음에도 결과적으론 주식에의 투자가 가장 좋은 성과를 내었습니다.
            • 이 투자가 주식시장의 침체기를 포함한 단기간에 걸쳐 되었었다면 수익은 달라졌을 것입니다.

            1990년2월부터 2005년10월까지의 시장을 분석을 분석하여 본 결과를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1988년부터 2004년간의 기간동안 세계주식시장에 투자한 경우 각각 1년씩 투자 한 수익률은 아래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익의 변동폭이 크지만 10년간씩 투자한 왼쪽의 그래프에서는 10%내외의 꾸준한 수익을 올린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아래 참조

            아래 참조

            자료 : Micropal, 1998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MSCI AC 월드 지수의 평균 수익율을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
            본 자료는 예시용으로 제시 되었으며, 과거실적이 향후에도 계속된다는 보장은 없음

            자료 : Micropal, 1998년 1월부터 2004년 3월까지 MSCI AC 월드 지수의 평균 수익율을 바탕으로 한 시뮬레이션 본 자료는 예시용으로 제시 되었으며, 과거실적이 향후에도 계속된다는 보장은 없음

            시장의 상황을 보고 호기에 들어가겠다고 하는 투자자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누구도 어떤 전문가도 시장상황을 정확하게 미리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여러 연구결과를 보더라도 단기적인 시장의 상황을 보고 매매하는 경우에는 가장 좋은 수익을 주는 기간을 대부분 놓치는 경우가 발생했으며 따라서 수익도 꾸준히 투자한 경우보다 거래 위험 감소 좋지 않았습니다.

            꾸준한 투자 : Market Timing의 위험

            • 투자의 방법에 있어서 또한 중요한 것은 타이밍을 노리기 보다 꾸준한 투자상태를 유지하는 것입니다.변동성이 높은 주식 같은 경우 결과적으로 보면 장이 오르기 전에 투자했다가 피크에서 팔기를 반복하면 더 좋은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하지만 이것은 사후에만 알 수 있는 것이고 그 어떤 전문가라 할지라도 가장 쌀 때가 언제인지 가장 비쌀 때가 언제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 어떤 이들은 또 가장 싸고 가장 비쌀 때가 아니더라도 추세를 따라서 투자해도 좋은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 하지만, 그런 족집게 투자는 아래와 같은 결과에서도 볼 수 있듯 가능하지 않습니다.

            꾸준한 투자:

            정기적이라고 해서 1개월 정도의 단기로 자산을 재조정 하는 것을 권해드리지 않습니다. 6개월 또는 1년 정도의 기간으로 투자자산의 운용현황을 보고 원래의 투자원칙에 맞도록 또는 그 동안 시장상황이 많이 변화했다면 변화한 시장 상황에 맞도록 투자목표를 수정해서 재조정 하시길 권해드립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