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Y 인사이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무역에서 신뢰할 수있는 조수

- 교신수단 , 현지 업체 , 서류 등 3 가지에 대해 공개된 정보를 중심으로 확인 -

- 피해 발생 시 회복 어려우므로 사고 발생 예방 위한 사전 확인이 중요 -

무역사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유의할 사항은 교신수단 , 현지업체 , 서류 등 3 가지로 볼 수 있다 . 항목별로 확인할 내용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① 이메일 , 핸드폰 등 교신수단

해외사업에 주로 사용되는 교신수단으로는 전자메일과 휴대폰이 있다 . 구글 , 야후 등 주요 포털 기업들이 무료 이메일을 제공하면서 기업들의 해외사업이 용이해진 만큼 무역사기 등 부작용도 커지고 있다 . N 사의 K 관세사에 따르면 전자메일로 인한 무역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보안 사항을 잘 준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 비밀번호를 주기적 바꾸고 사용하는 메일마다 비밀번호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또한 사업용 전자메일과 개인용 전자메일을 구분 사용하여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 또한 자주 쓰는 기기가 아닌 곳에서 전자메일에 접속했을 때 알려주는 알림 시스템도 활용하는 것도 전자메일 관련 사고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

특히 계약 금액 및 거래 조건 관련 정보 , 은행 계좌 정보 등 중요한 정보를 주고 받을 때는 전자우편을 활용하더라도 전화 , EY 인사이트 팩스 등 전자메일과 분리될 수 있는 별도의 통신수단으로 한 번 더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또한 거래상 중요 정보를 주고받을 때에는 거래 상대방의 이메일 주소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무역사기를 진행하고자 하는 악의를 가진 자가 이메일을 해킹해 기존 거래선 이메일 주소의 철자 하나만 바꾸어 우리 기업에 의도적으로 거짓 은행 정보 등을 전송하고 돈을 사취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

휴대폰의 경우 영국에는 선불요금제가 발달돼 있다 . 선불요금제는 심카드를 구입하여 핸드폰에 끼우고 사용하고자 하는 요금만큼 금액을 충전하면 되는 요금제이다 . 영국에서 심카드는 공항에서 자판기를 통해 판매될 만큼 구입이 쉽다 . 또한 기간망 사업자뿐 아니라 기간망 사업자로부터 망을 빌려서 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도 많아 핸드폰 시작 번호도 다양하다 . 영국에서 핸드폰 번호는 주로 07 로 시작하며 071, 073, 074, 075, 076, 077, 078, 079 등이 대표적인 핸드폰 시작 번호이다 . 핸드폰만으로 업무를 진행한다고 해서 무역사기의 위험이 높다고 하기는 어렵지만 영국에서 심카드 구입이 매우 용이한 만큼 핸드폰 EY 인사이트 이외에 사무실 번호 등이 없는 경우는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보통 무역사기를 노리는 자들은 다수의 기업에 접촉을 하므로 이들이 사용하는 이메일 주소나 핸드폰 번호를 인터넷에서 검색을 하면 검색이 되는 경우가 있다 .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하는 무역거래 사이트에 해당 이메일이나 전화번호가 자주 보이거나 해당 이메일이 Scam( 사기 ) 으로 의심된다는 내용이 검색되면 거래에 더욱 조심하는 것이 좋겠다 .

현지 업체 관련해서는 우선 기본적인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가장 정확하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Companies House 홈페이지를 활용하는 것이다 . 영국에서 회사가 설립이 되면 Companies House 에 등록이 되고 회사번호를 부여 받는다 . 이에 회사 이름과 회사 번호로 Companies House 홈페이지에서 검색이 가능하다 . 정확한 검색을 위해서는 회사번호로 검색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 다음 링크를 클릭한 후 화면 중앙의 녹색으로 된 Start Now 버튼을 누르면 검색창이 나온다 .

Companies House 에서는 사명 , 설립연도 , 등록지 주소 , 업종 등 기본 정보 이외에 이사진 정보 , 재무정보 , 설립정보 , 주요 이사진 변경 정보 등 생각보다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갑작스럽게 연락을 해온 현지 업체를 Companies House 홈페이지에 검색을 하는데 검색이 되지 않거나 휴먼 (Dormant) 상태이거나 해산 (Liquidation) 상태이면 거래에 주의를 할 필요가 있다 . 또한 재무정보를 확인해본 결과 순 자본금이 음수로 나타나는 경우나 Strike-off 라는 표현이 보이면 해당 사의 사업 상황이 어려운 상태로 볼 수 있다 .

또한 구글 지도 등 무료로 인터넷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도도 활용할 수 있다 . 잠재 거래선에서 알려준 주소로 인터넷 지도를 검색하여 거리뷰 (Street View) 기능으로 주변을 살펴본 상황과 거래선이 알려준 사업 내용이 다르면 추가로 질문을 할 수도 있다 . 예를 들어 알려준 사업장 주소에 물류센터가 있다고 하였는데 지도에서 주택가로 나타난다면 다시 한번 사업 현황에 대해 문의를 해야 할 것이다 .

이에 더해 한국무역보험공사에서는 국외기업 신용조사 서비스 프로그램도 활용을 검토해 볼 수 있다 . 다음 링크를 클릭하면 상세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 https://www.ksure.or.kr/service/importer01.do )

마지막으로 서류 관련 EY 인사이트 사항이다 . 잠재 거래선이 이메일로 우리 기업에 보내주는 서류로는 영국 정부로부터 받았다고 하는 수주확인서 , 현지 정부기관 공문 , 현지 은행 거래서 등으로 자신들의 사업제안이 신뢰할 수 있다는 증거로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 이와 관련된 경우 서류의 상태 , 서류에 EY 인사이트 나와 있는 기관명 , 서류상의 용어 등을 확인해 본다면 서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어느 정도는 예방할 수 있다 .

우선 서류의 상태를 육안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서류에 나와 있는 기관의 로고가 선명하지 않거나 서류의 글자체가 통일되어 있지 않은지 살펴봐야 한다 . 또한 서류상의 사진이나 그림이 깨끗하게 나와 있지 않으면 허위서류로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 영국 정부 부처의 로고는 대부분 흑백이며 노란색 , 빨간색 , 파란색 등 원색을 사용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 또한 영국 정부는 전자문서로 사무를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 정식서류는 대부분의 경우 육안으로 보더라도 글자체가 통일감이 있고 깨끗하다 .

영국 정부는 많은 정보를 www.gov.uk 홈페이지를 통해 제공하고 있다 . 이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검색창에 guidance pdf, form pdf 등으로 검색하면 영국 정부의 서류 양식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이와 비교하여 차이가 심하게 난다면 서류의 진위여부에 보다 신경을 쓰는 것이 필요하다 . 과거 사례를 보면 지나치게 다양한 색조 , 흐릿하게 스캔된 사진 , 컬러로 표시된 정부부처 로고 등은 대체로 허위문서인 경우가 많았다 .

다음은 기관 명칭이다 . 나라는 다르더라도 국가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비슷한 정부기관이 필요하다 . 하지만 정부기관 명칭은 나라마다 상이하다 . 이에 잠재 거래선에서 영국 정부기관명이 표기된 서류를 제공하면 해당 정부기관명이 정식 명칭인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매우 기초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정부기관에서 발급받은 서류라고 하는데도 영국 정부기관의 명칭 자체가 잘못된 서류도 종종 발견할 수 있다 . 이런 경우는 무역사기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거래 자체를 진행하지 않는 것이 좋다 . 또한 해당 정부기관의 역할을 확인해보는 것도 필요하다 . 예를 들어 소비자 금융을 관리하는 기관 명칭과 로고가 국세 혹은 관세 관련 서류에 나와 있으면 이 역시 무역사기일 가능성이 높다 . 영국 정부 부처별 주요 업무영역은 인터넷 검색을 통해 쉽게 파악 가능하다 . 해당 서류에 나와 있는 기관명으로 인터넷 검색을 하면 대부분 해당 기관 홈페이지 첫 화면에 그 기관의 역할이 설명되어 있다 . 예를 들어 영국의 국세관세청인 HM Revenue & Customs 를 인터넷 검색하여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What HM EY 인사이트 Revenue & Customs does 가 나오고 이곳을 살펴보면 국세관세청의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

서류상의 용어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예를 들어 서류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영국 법령명을 기재한 경우가 있다 . 영국의 특정 법률에 따라 이 서류의 EY 인사이트 어떤 부분이 작성되었다는 문구를 포함해 서류를 읽는 사람에게 신뢰성을 주기 위한 것이다 . 이럴 경우 법령명을 검색하여 이 법령이 영국의 정식법령인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무역사기를 진행하고자 하는 자가 자신이 살고 있는 국가의 법령 명칭을 서류에 포함시키는 경우가 생각보다 자주 있다 . 또한 서류에 나오는 사람 , 지역 , 정부 부처 등 고유명사 등도 영국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명칭인지도 확인해보는 것이 간단하면서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된다 .

무역사기는 발생하고 나면 피해 회복이 쉽지 않다 . 무역사기 사고가 발생하면 우선 영국 신고기관 Action Fraud 에 신고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 Action Fraud 는 영국에서 사기나 사이버 범죄를 경험한 경우 관련 범죄에 대해 신고를 하는 기관이다 . 이 제도는 NFIB(National Fraud Intelligence Bureau) 와 함께 런던 시 경찰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신고를 하면 경찰 범죄 참조 번호 (police crime reference number) 를 받게 되며 접수된 보고서는 NFIB 로 전달된다 . 아래 사이트를 보면 신고 관련 세부 내용을 살펴볼 수 있다 .

Action Fraud 신고와 별도로 한국 사이버경찰청 홈페이지 혹은 주거지 관할 경찰서 사이버 수사팀 민원실에 신고를 하는 것도 필요하다 . 신고 이후에는 한국과 영국 간 공조를 통해 범죄 수사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이상과 같이 무역사기 예방과 발생시 대응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 무역사기는 예방이 가장 중요하므로 의심되는 사업제안 건에 대해서는 조심스러운 접근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

자료 : 영국 Companies House, KOTRA 런던 무역관 자료 종합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무역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확인해 볼 3가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제 무역

무역은 세계 경제의 중추로서 투자와 일자리를 창출하고 경제 성장을 촉진할 뿐 아니라 생활 수준을 향상합니다.

국제 무역은 관세 전쟁과 보호무역 정책 및 규제 불확실로 기존 사업 모델과 무역 관계가 무너지면서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수동 프로세스와 신뢰할 수 없는 데이터, 폐쇄적 의사결정 등에 의존해 변화에 대응이 어려운 상황입니다. 또한 무역 네트워크 전반에 대한 신뢰부족으로 각 부분에서 마찰이 발생하고 진행이 느려지고 있습니다.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와 인사이트를 활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가 등장함에 따라, 국제 무역은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야 합니다. EY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활동을 통해 기업들이 통합적 대응 전략을 구축하도록 지원합니다.

  • 국제 관세 및 무역 관계 변화에 대한 대응책 마련
  • 무역 네트워크 관련 비용, 리스크 및 지연 절감
  • 정보 데이터를 통한 인사이트 제공
  • 공급망 운영 모델의 재구상
  • 기술의 활용 극대화

사무실에 있는 남성

조세 불복,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최신 EY 인사이트

최신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EY 에디터가 직접 고른 최신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EY는 이렇게 도와드립니다

간접세 및 국제 통상

최근 몇 년 사이에 부가가치세, 관세 및 소비세 등 간접세 관리와 관련한 문제가 기업의 중요한 어젠다로 떠올랐습니다.

소비세(물품세) 서비스

무역의 세계화가 진행됨에 따라, 관련 기업은 소비세를 관리하고 소비세의 영향을 최소화할 기회를 포착하여 잘 활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간접세 신고

전 세계적으로 간접세는 세법 및 신고 의무 관련 사항 개정 등으로 하루가 다르게 급변하고 있습니다.

전략지정학적 비즈니스 그룹(Geostrategic Business Group, GBG)

정치적 변혁은 글로벌 조직에 도전과 기회를 모두 제공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정치 리스크 관리에 대한 더 전략적인 접근법의 개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에 GBG는 기업이 비즈니스에 미치는 지정학적 영향과 불안한 글로벌 환경을 효과적으로 탐색하는 방법을 갖출 수 있도록 돕습니다.

EY 전문가들

국제무역 와해 요인

무역은 보복 관세, 제재 및 전 세계 무역 협정 재협상 등으로 혼란을 겪고 있습니다.

트레이드와치(TradeWatch)

EY 분기별 뉴스레터를 통해 해외 관세와 무역 동향에 대한 최신 정보 및 인사이트를 공유해드립니다.

무역은 파괴자인가 파괴 대상인가?

2019 EY 국제무역 심포지엄 보고서에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해드립니다.

도움이 되셨나요? EY 전문가에 문의해 더 자세한 이야기를 알아보세요.

EY는 언스트앤영글로벌유한회사(Ernst & Young Global Limited) 조직, 또는 하나 이상의 멤버 법인을 지칭할 수 있으며, 각 멤버 법인은 서로 독립적인 법인입니다. 언스트앤영글로벌유한회사는영국의 보증책임 유한회사로 고객사에게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한영회계법인 주소: EY 인사이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공원로 111 ┃ 사업자등록번호: 116-81-01389

EY | Assurance | Consulting | Strategy and Transactions | Tax

About EY

EY is a global leader in assurance, consulting, strategy and transactions, and tax services. The insights and quality services we deliver help build trust and confidence in the capital markets and in economies the world over. We develop outstanding leaders who team to deliver on our promises to all of our stakeholders. In so doing, we play a critical role in building a better working world for our people, for our clients and for our communities.

EY refers to the global organization, and may refer to one or more, of the member firms of Ernst & Young Global Limited, each of which is a separate legal entity. Ernst & Young Global Limited, a UK company limited by guarantee, does not provide services to clients. For more information about our organization, please visit ey.com.

© 2020 EYGM Limited. All Rights Reserved.

This material has been prepared for general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relied upon as accounting, tax, or other professional advice. Please refer to your advisors for specific advice.

EY.com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본 사이트는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데 꼭 필요한 쿠키 외에도 다음과 같은 쿠키를 사용하여 사용자 경험과 서비스를 향상시킵니다. 기능쿠키(Functional cookies)는 설정을 기억하는 등 사용자 경험 향상을 위한 웹사이트 성능을 측정하고, 성능쿠키(Performance cookies)는 웹사이트 사용 경험을 개선합니다. 우리와 광고캠페인을 함께 실행하는 제 3자에 의해 설정된 광고/타기팅쿠키(Advertising/Targeting cookies)는 귀하와 관련된 광고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법인식별기호(LEI): 신뢰할 수 있는 비즈니스 식별에 관한 글로벌 성공 사례를 통해 아프리카 전체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지원하는 방법

2016년 대륙 전반에 걸쳐 발생한 침체에도 불구하고 아프리카의 경제는 빠른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은 2019년 아프리카 대륙 전체의 GDP 성장률을 4%로 예측했으며, 2018년 3월 아프리카 자유무역지역 설립에 관한 협약 체결로 인해 전 세계 최대 규모의 자유무역지역이 탄생했습니다. 향후 적절한 조건이 되면 아프리카 대륙은 세계 무대의 주요 경제 세력으로 부상할 것입니다.

수많은 성장의 기회가 열려 있는 지금은 그 어느 때보다도 성공적인 무역 환경 조성에 신뢰할 수 있는 신원이 얼마나 중요한지 인식해야 할 시기입니다. 비즈니스 실무에서는 거래 상대에 대한 지식이 위험 완화, 사기 방지와 대응 및 거래 성사 또는 실패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이러한 지식은 광범위하게 국가 경제의 발전 또는 실패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신원은 무역 금융에서도 중요합니다. 아프리카 개발 은행의 예측에 따르면 아프리카의 무역 금융 격차는 1,200억 달러에 달합니다 . 따라서 확인된 신원 부재와 같이 금융 제공에 방해되는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에 총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그러나 일부 개발도상국의 경우 경제활동의 50% 이상이 미등기 법인이나 투명한 자격 증명이 없는 비즈니스에 의해 수행되고 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신원이 없는 비즈니스는 국내외 무역에 참여할 기회를 박탈당할 수 있으며, 앞에서 언급한 금융 외에도 공급망과 결제 등 중요한 서비스를 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극단적인 경우 이로 인해 부패나 사기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거시경제의 침체와 개발 원조에 대한 의존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GLEIF는 경제의 발전과 번영이 거래 관계에서의 신뢰에서 시작된다는 견해를 지지하며, 이러한 신뢰를 확립하기 위한 조치로 전 세계 비즈니스에 통용되는 투명한 신원 확인 메커니즘인 법인식별기호(LEI)를 권장합니다.

LEI란 무엇인가요?

LEI는 국제표준화기구(ISO) ISO 17442 표준을 기초로 하는 20자리의 영숫자 코드로, 모든 비즈니스가 등록 가능합니다. LEI는 법인명과 법인의 소유 구조('누가 누구인가'와 '누가 무엇을 소유하는가') 등 법인에 대한 주요 기준 정보로 연결됩니다. 이러한 정보는 제3자 출처와 대조하여 확인합니다. LEI는 '글로벌 LEI 색인'이라는 온라인 글로벌 디렉토리에 해당 기준데이터와 함께 공개됩니다. 글로벌 LEI 색인은 Global Legal Entity Identifier Foundation(GLEIF)에서 관리합니다. 무료로 이용 가능한 이 시스템은 표준화된 고품질 오픈 법인기준데이터를 제공하는 유일한 글로벌 온라인 정보 리소스로, 전 세계 시장의 투명성을 제공합니다.

GLEIF: 투명성과 단순함 중심

세계 각지의 법인을 정확하게 식별하는 일은 이전부터 복잡하고 오랜 시간과 높은 비용이 소요되는 과제였습니다. LEI가 탄생하기 전에는 표준화된 일관적 법인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일된 최신 오픈 데이터베이스가 없어서 신원 확인 시 광범위한 여러 출처를 수동으로 확인하는 작업에 의존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출처 중 다수는 식별기호가 아닌 이름을 사용하여 상당한 혼란을 야기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 한 대형은행의 고객 서비스 부서는 한 법인이 자사의 데이터베이스에서 평균 5개의 이름(조금씩 다르게 표기)으로 등록되어 있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사내 부서 간, 비즈니스 간 및 전 EY 인사이트 세계 지역 간 이러한 불일치가 발생하면 여러 출처의 법인 정보를 추적하고 연관성을 찾기가 매우 어려워집니다. 과거에 이러한 현상은 투명성을 확보하지 못해 경제 위기, 시장 악용과 사기 행위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2008년 금융 위기 발생 시 규제 기관과 자본 시장의 참여자들은 리먼브러더스와 계열사에 노출된 시장 참여자의 범위를 신속하게 파악해야 했습니다. 이로 인해 모회사 수준의 집계 정보가 아니라 법인 수준의 노출을 식별하고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가 대두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금융안정위원회(FSB)는 G20의 재무부 장관 및 중앙은행장들과 함께 금융 거래에 관여하는 모든 법인을 위한 범용 LEI 개발을 주장했습니다. 이후 FSB는 LEI의 도입과 사용을 지원하기 위해 GLEIF를 설립했습니다.

LEI가 경제 성장에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현재까지 법인식별기호(LEI) 발급에 관한 규제 활동은 주로 금융 상품 거래에 대한 규정 보고 분야에서 LEI에 관련된 이니셔티브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금융 위기 이후 시스템 측면 위험과 새로운 위험의 평가, 동향 식별 및 시정 조치에 대한 당국의 역량 강화를 위해 LEI 표준의 도입과 함께 추구하는 즉각적인 목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부문에 관계없이 모든 시장 참여자가 사용하는, 믿을 수 있는 범용 법인 식별 메커니즘을 현존하는 규정에 추가하면 모든 비즈니스를 위한 금융 포용 기회 증가, 위험 관리 향상, 사기 대처 역량 강화 등 수많은 거시경제적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LEI는 어떻게 비즈니스 문제를 해결하나요?

LEI는 경제적 이점뿐 아니라 비즈니스에도 상당한 혜택을 제공합니다. 금융 서비스 기관이 경험하는 법인식별의 어려움을 조사한 GLEIF의 법인 식별의 새로운 미래 보고서에 따르면, 신생 온보딩은 간소화된 절차의 부재로 인해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은행 영업 직원의 절반 이상(57%)이 주간 업무일의 27%(매주 1.EY 인사이트 5일 이상에 해당)를 신규 고객 기관 온보딩에 할애한다고 응답했습니다. 금융기관의 절반 이상이 온보딩 과정에서 평균 네 가지 이상의 식별기호를 사용하여 고객 기관을 식별하는 현재 관행은 분명히 비효율적입니다.

더 나아가 이러한 비효율성은 비즈니스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응답자의 39%가 길고 복잡한 온보딩 절차로 인해 사업 기회를 잃을 위기를 경험했다고 답변했습니다. 또한 신규 사업의 15%가 이처럼 번거로운 절차를 고객이 감당하지 못해 위험에 처한 상태이며, 전체 사업의 14%는 고객 신원을 식별할 수 없어 손실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것은 모든 비즈니스에 있어 상당한 수치로, 고객 기관이 LEI를 도입하면 온보딩 절차가 간소화되고 고객 경험의 질이 향상되어 사업 손실의 위험이 감소하고 비효율성 개선을 통한 최적화가 가능함을 명백하게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이 보고서에 따르면 자본 시장 온보딩 및 주식 거래 처리에 LEI를 도입하는 경우 연간 거래 처리 및 온보딩 비용을 10%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본 시장 운영 비용의 3.5%가 감소하여 세계 투자 은행 업계 한 곳에서만 연간 1억 5천만 달러 이상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유의미한 결과는 금융 서비스를 넘어 보다 광범위한 비즈니스 커뮤니티 차원에서 LEI가 수많은 비즈니스에 제공하는 효율성을 나타냅니다.

LEI: 지금 아프리카에 도입해야 하는 이유

최근의 규정 변화는 아프리카 은행 부문 내의 통합을 초래하여 은행 산업을 더욱 강화하고 탄력성을 높였습니다. 아프리카 전체가 지속 가능성에 주력하는 현재 상황은 하나의 글로벌 디지털 신원을 도입하고, 온보딩과 거래 과정을 간소화하며 시장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여 은행 부문의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할 최적의 기회입니다.

또한 거시적인 관점으로 보면,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가 발전할수록 디지털 혁신에 더욱 가까워질 것입니다. LEI는 오늘날의 디지털 세상에서 발생하는 실질적인 니즈를 충족합니다. LEI를 활용하면 단일 글로벌 디지털 신원을 통해 전 세계 수백만 기업 법인을 일관되고 투명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성공적인 해외 무역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데 필요한 신뢰를 쌓을 수 있습니다. LEI는 비즈니스 상호작용이나 온라인 상호작용 시 신원의 확실성을 제공하여 누구나 글로벌 시장에 쉽게 참여할 수 있게 합니다.

즉, LEI는 파편화된 정보를 표준화된 접근 방식으로 대체하여 비즈니스 거래의 복잡성을 제거하고 거래 대상을 더욱 스마트하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확신을 가지고 결정할 수 있게 해 줍니다.

본인은 본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읽고 이해한 후 동의한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본인이 입력하고 클릭한 데이터는 소셜 네트워크 소유자에게 전송되어 해당 소유자가 이를 저장하고 전자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합니다.

무역에서 신뢰할 수있는 조수

말레이시아 기업을 사칭한 무역사기 시도 건수 증가 추세

오유진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2017 년도 하반기 들어 무역사기 건으로 의심되는 바이어 정보 확인 요청 건이 급증하고 있다 . 한국기업 문의에 따라 무역관에서 파악한 결과 , 말레이시아 기업을 사칭해 무역사기를 시도하는 사례가 다수 포착되었으며 , 사기 수법이 이메일 해킹과 공문서 위조 등 과거보다 정교해지고 있어 우리 기업의 주의가 요구된다 . 특히 , 특정인이 여러 개의 기업을 사칭해 한국기업 대상 거래를 유도하는 사례가 발견된 바 말레이시아 바이어 / 수출업자와 비즈니스 진행 시 꼼꼼한 확인절차를 거쳐야 할 것으로 보인다 .

□ 2017 년 발생 무역사기 시도 사례

1) 사례 1: 서류 위조

한국 기업 K1 사는 'SYSCO BRISTOW RESOURCES' 라는 업체명을 도용한 A 로부터 강낭콩 , 팜오일 수입을 권유받았다 . A 는 PROFORMA INVOICE 와 기업등록증명서 (Certificate of Registration of Companies) 를 보내며 입금을 요청하였고 , 현지 방문면담이나 공장 실사에 대해서는 거부를 해왔다 . A 의 행동이 의심스러웠던 K1 사는 입금 진행 전 KOTRA 쿠알라룸푸르무역관을 통해 진성확인 요청을 했다 .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확인 결과 A 가 보내 온 기업등록증명서는 조작된 것으로 판단하고 거래 중단을 권고했다 . A 가 K1 상으로 보낸 서류 상에는 회사가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 (SSM) 에 2002 년 3 월 9 일에 등록된 것으로 나오나 , 무역관 확인 결과 해당 회사는 2016 년 11 월 11 일에 설립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

EMB000004b40a1a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 (SSM) 조회 서류

EMB000004b40a1b

자료원 :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 (SSM)

2) 사례 2 : 웹사이트 도용 EY 인사이트

2017 년 10 월 27 일 , 11 월 6 일과 11 월 15 일 세 차례에 걸쳐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으로 말레이시아 공급선 진성파악 의뢰 요청이 접수되었다 . C-RESOURCES, VY Group SDN BHD 라는 2 개 업체명을 사용한 B 로부터 각각 종이컵 , Polycarbonate, 강낭콩 등 상이한 품목 견적을 제공받은 한국기업 3 개사의 진성파악 의뢰였다 . 무역관에서 말레이시아 기업정보 조회 사이트와 기업위원회 (SSM) 를 모두 조회해 본 결과 해당 업체 검색이 안되며 , 해당 주소에는 다른 기업이 등록돼 있는 것을 확인되어 B 가 동일 주소 , 동일 사이트를 도용해 한국기업 대상 사기행각을 벌이는 것으로 판단 , 거래 중단을 요청하였다 .

ㅇ C-RESOURCES
- 주소 : 88777 Luyang Kota Kinabalu , Sabah Malaysia
- 전화 : +60 1466 52143
- 담당자 : Dr. Mohamed Mohd Mahat
ㅇ 의뢰 내용

- 상기업체 메일 주고 받았음 . 종이컵 한국으로 수입하고자 함
- 상기업체에서 DHL 로 종이컵 샘플 보냈는지 확인 요망 (DHL Tracking number 요청 )
- importer: Yongho Industry Co.,Ltd DHL importer account 968382284 확인 요망
- 상기업체 정확한 주소 및 연락처 확인 요청

ㅇ VY Group SDN BHD
- 주소 : 88777 Luyang Kota Kinabalu, Sabah, Malaysia
- 전화 : +60 1466 52143
- 담당자 : Dr. Mohamed Mohd Mahat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상기업체로부터 Polycarbonate 수입과 관련해 견적서를 접수했음
- 수출하는 업체가 신뢰할 수 있는 업체인지 확인 요망
- 결제조건은 선수금 20%, 선적 후 잔금 지급으로 CNF 부산으로 돼있음

ㅇ VY Group SDN BHD
- 주소 : 88777 Luyang Kota Kinabalu, Sabah, Malaysia
- 전화 : +60 1466 52143
- 담당자 : Dr. Mohamed Mohd Mahat
- 이메일 : [email protected]

ㅇ 의뢰 내용
- 상기업체로부터 강낭콩 수입과 괸련해 송장을 받음
- 공급자의 진성여부 확인 요망

위 사례 1, 2 건 모두 동일 인물에 의한 사기 시도로 파악되어 무역관에서는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 (SSM) 와 말레이시아 대외무역개발공사 (MATRADE) 에 무역 사기 신고 의뢰를 하였다 . 동 사례들 외에도 서류조작을 통해 사기행각을 벌이는 이들이 종종 발견되고 있으므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사기 피해 예방법

말레이시아 바이어 혹은 수출업자와 거래 시 , 말레이시아 기업위원회사이트 (SSM) 를 통해 기업정보를 조회하여 기업 등록 번호 , 등록일자 , 대표자명 , 회사 주소 등 제공받은 정보와 사이트 등록 정보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

ㅇ 계정 생성 (My e-Account → Register e-Account)
* ID/PW 설정 및 이메일주소만 등록하면 간편하게 가입 가능
ㅇ 'Search' 클릭 후 회사명 or Registration Number 입력해 조회

간혹 , 거래 진행 시 이메일로만 교신하고 바로 거래를 진행하는 경우가 있는데 , 해외 거래를 할 시 유선연락 필수이다 .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으로 바이어 진성확인 요청이 들어와 전달받은 이메일에 기재된 전화로 연락을 취했을 경우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가 다수 있었으며 , 메일 서명에 이름 , 직책 , 회사명 , 주소 , 연락처 등 세부 정보가 기재돼 있지 않을 경우 유선 연락해 확인 작업을 거치는 것이 좋다 . 의심가는 기업의 경우 기업정보 조회사이트 ,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을 통한 진성 확인 요청 등 확인 절차를 거쳐 피해 입는 사례가 없도록 유의해야 한다 .

또한 , 회사 주소를 구글 지도에서 확인해 검색 위치가 어디인지 확인하여 사진 정보가 제공되지 않는 곳과 바이어의 소재지가 공사장 , 공터 혹은 주거지인지를 파악하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 자체적으로 진성 파악이 어려울 경우 KOTRA 바이어 연락처 확인 서비스를 이용해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에 조사를 의뢰하여 사기를 예방할 수 있기를 바란다 .

자료원 : 국내 기업 제보 및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무역관 르포] 말레이시아 기업을 사칭한 무역사기 시도 유의해야)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