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별 투자 방법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12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리스크 최소화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마라는 말이 있듯이 자산이 주식이나 부동산에 집중 되어 있다면 해당 주식과 부동산이 폭락한다면 자산은 급격하게 줄어들고 위험에 쉽게 노출 될 수 밖에 없다.

연구과제 상세정보

국내 금융기관과 연기금 등의 성과평가는 일반적으로 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 등 전략적 자산배분과 전술적 자산배분의 구분이 뚜렷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반면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 부각으로 인해 전술적 자산배분에 대한 연구가 소외된 경향이 나타나고 있 .

국내 금융기관과 연기금 등의 성과평가는 일반적으로 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 등 전략적 자산배분과 전술적 자산배분의 구분이 뚜렷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반면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 부각으로 인해 전술적 자산배분에 대한 연구가 소외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국내의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며 대부분의 연구가 연금이나 보험사의 전략적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박대근·김대욱, 2005; 원종현, 2006; 박영석·고혁진, 2007 등) 최근에는 위험배분(risk allocation)에 중점을 둔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이는 전략적 자산배분의 기대위험 고려보다는 리스크관리가 부각되면서 VaR의 계산이 논란이 되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전술적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는 평균-분산모형을 이용한 투자자산별 리밸런싱의 성과를 살펴본 엄철준(2003)의 연구가 있으나 극히 드문 편이다.
하지만 해외에서는 보다 효율적 전술적 자산배분방법을 찾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어 베이지안 접근법에 기초한 Black-Litterman 모형은 지속적이고 다각적인 연구에 힘입어 대표적인 전술적 자산배분방법으로 위치를 굳히고 있다(Hoevenaars, Molenaar, Schotman and Steenkamp, 2008).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투자자의 시장전망을 반영할 수 있고, 평균분산모형의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는 장점으로 국내 금융기관에서 활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Black-Litterman모형과 평균분산모형의 자산배분 결과 가중치의 비교 분석을 통해 Black-Litterman모형의 유용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위험조정상수(τ)의 값과 시장전망의 불확실성 투입방법, 위험지표인 분산 조정여부 등 Black-Litterman 모형의 투입변수 중 논란이 되고 있는 변수들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고 최적의 방법론을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 Black-Litterman모형을 이용하는 자산배분전략 수립시 이론적 기반과 함께 논란이 되고 있는 투입변수 선정 기준을 제시하여 자산배분모형 확립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차 년도 연구과제를 통해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 부각으로 인해 소외되었던 전술적 자산배분의 중요성과 함께 전술적 자산배분의 대표적 방법론인 Black-Litterman 모형을 소개하고 평균분산모형과 비교분석을 통해 Black-Litterman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려고 한다. .

1차 년도 연구과제를 통해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 부각으로 인해 소외되었던 전술적 자산배분의 중요성과 함께 전술적 자산배분의 대표적 방법론인 Black-Litterman 모형을 소개하고 평균분산모형과 비교분석을 통해 Black-Litterman모형의 유용성을 검증하려고 한다.
2차 년도 연구과제를 통해서는 최근 해외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Black-Litterman모형의 투입변수 추정 방법론을 살펴보고, 시뮬레이션과 실증분석을 통해 전술적 자산배분으로 국내 시장에 가장 적합한 투입변수 추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서 학술적으로는 국내에서 소외되어 왔던 자산배분에 대한 연구의 폭을 넓히고, 자산배분에 대해 보다 세부적인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또한 실무적으로는 자산배분 방법론으로 Black-Litterman모형 사용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며, 보다 효율적으로 전술적 자산배분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1차 년도 과제 : Black-Litterman모형과 평균분산모형과의 다각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전술적 자
산배분모형으로 Black-Litterman모형의 유용성
국내 주식(시가총액 대형주, 시가총액 중형주, 시가총액 소형주 및 KOSDAQ)을 투자자산으로 10년 이상 .

1차 년도 과제 : Black-Litterman모형과 평균분산모형과의 다각적인 비교분석을 통해 전술적 자
산배분모형으로 Black-Litterman모형의 유용성
국내 주식(시가총액 대형주, 시가총액 중형주, 시가총액 소형주 및 KOSDAQ)을 투자자산으로 10년 이상의 장기 월간 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실시한다. 먼저 평균분산모형 과 Black-Litterman모형을 이용해 자산배분 모형을 실행하고, 두 모형간 자산별 투자비중의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본다. 그 다음으로 1개월 및 3개월 단위의 리밸런싱의 투자성과 차이를 분석하여 Black-Litterman모형이 기존의 전통적인 모형보다 유용한지를 분석할 것이다. 이를 위해 Black-Litterman 모형에 투입되는 시장전망을 시나리오별로 조정하면서 평균분산모형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고자 한다.

2차 년도 과제 : Black-Litterman모형의 투입변수 추정 방법에 대한 고찰

기존의 연구를 살펴보면 모형의 투입변수에 대해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주장을 펼치고 있으나 아직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고 있다. 반면 국내 금융기관에서는 빠른 속도로 Black-Litterman모형을 도입하여 활용하려고 하고 있다. 따라서 Black-Litterman모형에 투입되는 변수의 움직임에 따라 자산배분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파악하고 논란이 되는 투입변수를 추정하는 최적의 방법이 무엇인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lack-Litterman모형의 투입변수 중 논란이 되고 있는 위험조정상수(τ)의 추정법, 시장전망의 불확실성 반영하기 위한 오차항의 공분산()의 조정 방법과 Black-Litterman모형 최적화에서 한 축이 되는 분산의 추정방법 등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비롯한 실증분석을 통해 최적의 투입변수 추정방법을 알아보도록 한다.

  • 한글키워드
  • 평균-VaR모형,구석해,블랙-리터만모형,전술적 자산배분,위험조정상수,베이지안 접근법,위험회피계수 ,전략적 자산배분,평균분산모형
  • 영문키워드
  • Strategic Asset Allocation,Risk Aversion Factor ,Risk Adjusted Constant,Corner Solution,Black-Litterman Model,Bayesian Approach,Tactical Asset Allocation,Mean-Variance Model,Mean-VaR Model

국내 주식(시가총액 대형주, 시가총액 중형주, 시가총액 소형주 및 KOSDAQ)을 투자자산으로 10년 이상의 장기 월간 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실시한다. 먼저 평균분산모형 과 Black-Litterman모형을 이용해 자산배분 모형을 실행하고, 그 결과로 나타난 자산별 투자비중에서 .

국내 주식(시가총액 대형주, 시가총액 중형주, 시가총액 소형주 및 KOSDAQ)을 투자자산으로 10년 이상의 장기 월간 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실시한다. 먼저 평균분산모형 과 Black-Litterman모형을 이용해 자산배분 모형을 실행하고, 그 결과로 나타난 자산별 투자비중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1개월 및 3개월 단위의 리밸런싱의 투자성과 차이를 분석하여 Black-Litterman모형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Black-Litterman 모형에 투입되는 시장전망을 시나리오별로 조정한결과 하면서 평균분산모형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자산별 투자 방법 평균분산모형에 투입되는 기대수익률은 Black-Litterman모형에 투입되는 시장전망과 동일한 값을 사용하고, 분석기간마다 과거 평균수익률(), 다음 기간 동안의 실현수익률(), 다음 기간 동안의 실현수익률() x 0.5, 다음 기간 동안의 실현수익률() x -0.5, 다음 기간 동안의 실현수익률() x -1로 전망치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시장전망에 다음 기간의 실현수익률을 조정한 값을 투입함으로 Black-Litterman모형의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시한다. 평균분산모형과 Black-Litterman모형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해 도출한 자산배분의 비중 차이를 분석하여 기존 평균분산모형이 가지고 있던 구석해(corner solution) 문제를 Black-Litterman모형이 완화시켰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각 기간별 투자자산의 포트폴리오 비중을 제곱한 후 합계를 구한 후 이를 평균-분산 모형과 Black-Litterman 모형의 결과차이를 평균차이 검정을 통해 분석한다. 투자성과 차이분석은 10년간의 1개월, 3개월 단위 리밸런싱을 가정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균분산모형과 Black-Litterman 모형의 수익률과 위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때 전략적 자산배분으로 기준 비중은 고려하지 않고 특정 기간 단위의 리밸런싱에 의한 성과 비교를 통해 전술적 자산배분의 성과를 평균차이 검증을 통해 비교분석하도록 한다. 평균분산모형과 Black-Litterman 모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자산배분 과정이 진행된다.3 먼저 평균분산모형은 주어진 위험하에서 최대 기대수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최적화시킨다. 여기에서 는 각 자산의 투자비중 벡터, 은 기대수익률 벡터, 는 초과수익률의 공분산행렬을 나타낸다. 평균분산모형에 이용되는 투입변수는 과거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며 제약조건으로 포트폴리오 구성자산 비중합은 1이 되도록 하고 주어진 기대수익률하에 최소위험을 추구하는 최적화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Black-Litterman모형은 투자자의 위험회피도(risk aversion coefficient) 및 시장의 내재 균형 수익률(implied equilibrum return) 추정, 시장전망 및 시장전망의 불확실성(uncertainty of views) 추정, 내재 균형 수익률과 시장전망을 결합한 결합수익률(combined return) 추정, 추정한 결합 수익률과 공분산 매트릭스를 투입한 평균-분산 최적화 등의 과정으로 실행한다. 먼저 과거자료에 기초하여 투자자의 위험회피도를 추정하고 내재 균형 수익률을 구한다. 균형 수익률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룬 이상적인 상태에서의 사장 참여자들의 기대수익률을 말한다. 투자자가 합리적이고, 동일한 기대를 가진다면 시장은 끊임없이 균형 상태를 추구하게 되고, 현재는 균형상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가 균형 상태일 때 시장참여자들이 예상하는 기대수익률을 특히 내재 균형 수익률이라 하고, 이는 Markowiz의 평균분산모형의 자산배분 결과가 시장 포트폴리오 비중이 되게 하는 수익률이다. 투자자들의 동질적 기대를 하고 효율적 투자를 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내재 균형 수익률은 시장에 대한 기대수익률이라 할 수 있으나 실현수익률과 상관관계가 높지 않아 향후 예측력은 낮다. 그러나 Black-Litterman모형에 투자자의 시장전망이 반영됨에 따라 현재의 시가총액을 반영하게 되는 내재균형수익률은 투자자의 전망에 대한 기준점 역할과 함께 Black-Litterman 모형에 현재의 시가총액(혹은 현재의 투자비중)을 반영하면 전통적인 자산배분전략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 준다.

we solve the asset allocation problem where investors choose to invest among risk-free asset, a passively managed index fund, and an actively managed fund. Asset allocation is based on the maximization of expected utility in a one period time framewo .

we solve the asset allocation problem where investors choose to invest among risk-free asset, a passively managed index fund, and an actively managed fund. Asset allocation is based on the maximization of expected utility in a one period time framework and the excess returns of two funds are medeled by a GARCH medel which captures most non-normal features of the data. Estimation risk of GARCH model is dealt with by a Bayesian approach where the posterior distributions of the parameters are drawn by the "Metropolis within Gibbs" algorithm.
The Bayesian model impliies more conservative weight in the active fund. Moreover, in terms of realized returns and utilities, there is ni sharp difference of performance between Bayesian and classical model as they all have some cases with the highest realized returns of utilities.

국내 금융기관과 연기금 등의 성과평가는 일반적으로 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 등 전략적 자산배분과 전술적 자산배분의 구분이 뚜렷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반면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 부각으로 인해 전술적 자산배분에 대한 연구가 소외된 경향이 나타나고 있 .

국내 금융기관과 연기금 등의 성과평가는 일반적으로 연단위로 이루어지고 있는 등 전략적 자산배분과 전술적 자산배분의 구분이 뚜렷하게 이루어 지지 않고 있는 반면 전략적 자산배분의 중요성 부각으로 인해 전술적 자산배분에 대한 연구가 소외된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국내의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는 매우 드문 실정이며 대부분의 연구가 연금이나 보험사의 전략적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위험배분(risk allocation)에 중점을 둔 연구가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이는 전략적 자산배분의 기대위험 고려보다는 리스크관리가 부각되면서 VaR의 계산이 논란이 되었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전술적 자산배분에 관한 연구는 평균-분산모형을 이용한 투자자산별 리밸런싱의 성과를 살펴본 엄철준(2003)의 연구가 있으나 극히 드문 편이다.
본 연구는 먼저 투자자의 시장전망을 반영할 수 있고, 평균분산모형의 문제점을 완화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 금융기관에서 활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Black-Litterman모형과 평균분산모형의 자산배분 결과 가중치의 비교 분석을 통해 Black-Litterman모형의 유용성을 살펴보고, 다음으로 위험조정상수(τ)의 값과 시장전망의 불확실성 투입방법, 위험지표인 분산 조정여부 등 Black-Litterman 모형의 투입변수 중 논란이 되고 있는 변수들에 대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고 최적의 방법론을 찾는다

국내 주식(시가총액 대형주, 시가총액 중형주, 시가총액 소형주 및 KOSDAQ)을 투자자산으로 10년 이상의 장기 월간 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실시한다. 먼저 평균분산모형 과 Black-Litterman모형을 이용해 자산배분 모형을 실행하고, 그 결과로 나타난 자산별 투자비중에서 .

국내 주식(시가총액 대형주, 시가총액 중형주, 시가총액 소형주 및 KOSDAQ)을 투자자산으로 10년 이상의 장기 월간 자료를 이용해 분석을 실시한다. 먼저 평균분산모형 과 Black-Litterman모형을 이용해 자산배분 모형을 실행하고, 그 결과로 나타난 자산별 투자비중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1개월 및 3개월 단위의 리밸런싱의 투자성과 차이를 분석하여 Black-Litterman모형의 유용성을 보여준다. 이를 위해 Black-Litterman 모형에 투입되는 시장전망을 시나리오별로 조정한결과 하면서 평균분산모형과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평균분산모형에 투입되는 기대수익률은 Black-Litterman모형에 투입되는 시장전망과 동일한 값을 사용하고, 분석기간마다 과거 평균수익률(), 다음 기간 동안의 실현수익률(), 다음 기간 동안의 실현수익률() x 0.5, 다음 기간 동안의 실현수익률() x -0.5, 다음 기간 동안의 실현수익률() x -1로 전망치를 조정한다. 이와 같이 시장전망에 다음 기간의 실현수익률을 조정한 값을 투입함으로 Black-Litterman모형의 특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시한다.
평균분산모형과 Black-Litterman모형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이용해 도출한 자산배분의 비중 차이를 분석하여 기존 평균분산모형이 가지고 있던 구석해(corner solution) 문제를 Black-Litterman모형이 완화시켰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각 기간별 투자자산의 포트폴리오 비중을 제곱한 후 합계를 구한 후 이를 평균-분산 모형과 Black-Litterman 모형의 결과차이를 평균차이 검정을 통해 분석한다.
투자성과 차이분석은 10년간의 1개월, 3개월 단위 리밸런싱을 가정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균분산모형과 Black-Litterman 모형의 수익률과 위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 때 전략적 자산배분으로 기준 비중은 고려하지 않고 특정 기간 단위의 리밸런싱에 의한 성과 비교를 통해 전술적 자산배분의 성과를 평균차이 검증을 통해 비교분석하도록 한다.
평균분산모형과 Black-Litterman 모형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자산배분 과정이 진행된다.3 먼저 평균분산모형은 주어진 위험하에서 최대 기대수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최적화시킨다.
여기에서 는 각 자산의 투자비중 벡터, 은 기대수익률 벡터, 는 초과수익률의 공분산행렬을 나타낸다. 평균분산모형에 이용되는 투입변수는 과거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며 제약조건으로 포트폴리오 구성자산 비중합은 1이 되도록 하고 주어진 기대수익률하에 최소위험을 추구하는 최적화과정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Black-Litterman모형은 투자자의 위험회피도(risk aversion coefficient) 및 시장의 내재 균형 수익률(implied equilibrum return) 추정, 시장전망 및 시장전망의 불확실성(uncertainty of views) 추정, 내재 균형 수익률과 시장전망을 결합한 결합수익률(combined return) 추정, 추정한 결합 수익률과 공분산 매트릭스를 투입한 평균-분산 최적화 등의 과정으로 실행한다.
먼저 과거자료에 기초하여 투자자의 위험회피도를 추정하고 내재 균형 수익률을 구한다. 균형 수익률은 시장의 수요와 공급이 균형을 이룬 이상적인 상태에서의 사장 참여자들의 기대수익률을 말한다. 투자자가 합리적이고, 동일한 기대를 가진다면 시장은 끊임없이 균형 상태를 추구하게 되고, 현재는 균형상태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현재가 균형 상태일 때 시장참여자들이 예상하는 기대수익률을 특히 내재 균형 수익률이라 하고, 이는 Markowiz의 평균분산모형의 자산배분 결과가 시장 포트폴리오 비중이 되게 하는 수익률이다.
투자자들의 동질적 기대를 하고 효율적 투자를 한다고 가정하는 경우, 내재 균형 수익률은 시장에 대한 기대수익률이라 할 수 있으나 실현수익률과 상관관계가 높지 않아 향후 예측력은 낮다. 그러나 Black-Litterman모형에 투자자의 시장전망이 반영됨에 따라 현재의 시가총액을 반영하게 되는 내재균형수익률은 투자자의 전망에 대한 기준점 역할과 함께 Black-Litterman 모형에 현재의 시가총액(혹은 현재의 투자비중)을 반영하면 전통적인 자산배분전략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 준다.

자산별 투자 방법

집합투자업자는 자산운용보고서를 작성하여 해당 집합투자재산을 보관·관리하는 신탁업자의 확인을 받아 3개월마다 1회 이상 해당 집합투자기구의 투자자에게 발급해야 합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8조제1항 본문).

다만, 투자자가 수시로 변동되는 등 투자자의 이익을 해할 우려가 없는 경우로서 다음의 어느 하나의 경우에는 자산운용보고서를 투자자에게 발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8조제1항 단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2조제1항 및 「금융투자업규정」(금융위원회 고시 제2022-15호, 2022. 4. 1. 발령·시행) 제4-66조제1항].

집합투자업자가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를 설정 또는 설립하여 운용하는 경우로서 매월 1회 이상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 또는 환매금지형 집합투자기구의 자산운용보고서를 집합투자업자, 투자매매업자, 투자중개업자 및 협회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공시하는 방법으로 자산운용보고서를 공시하는 경우

집합투자업자가 환매금지형집합투자기구를 설정 또는 설립하여 운용하는 경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230조제3항에 따라 그 집합투자증권이 상장된 경우만 해당함)로서 3개월마다 1회 이상 단기금융집합투자기구 또는 환매금지형 집합투자기구의 자산운용보고서를 집합투자업자, 투자매매업자, 투자중개업자 및 협회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공시하는 방법으로 자산운용보고서를 공시하는 경우

펀드보유 시 확인해야 할 정보와 유의사항

Q. 펀드를 보유하고 있을 경우에 확인해야 할 정보나 유의사항은 없나요?

A. 펀드가입 이후 자산운용사와 판매회사, 보관·관리회사는 투자자가 가입한 펀드의 수익률 현황, 투자규모 등을 유지·관리하며, 투자자에게 주기적으로 잔고를 통보하고 자산운용보고서를 제공하는 등 다음과 같은 사후관리 업무를 합니다.

1. 수동적 서비스: 투자자 전화 문의 등에 대한 응대, 투자자 보고서 발송(자산운용보고서, 자산보관·관리보고서) 등

2. 적극적 서비스: 펀드 잔고 통보, 자산관리 보고서 발송, 우수(인기)펀드 추천, 투자자 세미나 개최 등

이 중 자산운용사가 작성하여 판매회사가 송부하는 분기별 자산운용보고서에는 운용성과 개요 및 운용기간 중 손익, 펀드자산내역, 매매금액 및 매매회전율 등의 중요한 투자정보가 담겨 있으니 분기별로 꼼꼼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자산보관 및 관리업무를 담당하는 신탁회사가 작성하여 판매회사가 보내주는 분기별 자산보관·관리보고서는 펀드의 적정 운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자산보관·관리보고서는 펀드매니저 변동사항, 약관변경 사항, 수익자 총회 의결내용, 운용상 위반사항·시정사항 등 펀드의 적정한 운용여부를 분기별로 체크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8조를 위반하여 자산운용보고서를 제공하지 않은 자 또는 거짓으로 작성하거나 그 기재사항을 누락하고 작성하여 제공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집니다(「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446조제14호).

투자신탁이나 투자익명조합의 집합투자업자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항이 발생한 경우 이를 지체 없이 공시해야 합니다(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89조제1항,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93조제2항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4-67조).

환매연기 또는 환매재개의 결정 및 그 사유(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자산별 투자 방법 법률」 제230조에 따른 환매금지형집합투자기구의 만기를 변경하거나 만기상환을 거부하는 결정 및 그 사유를 포함)

자산별 투자 방법

저금리 시대에 들어서면서 우리 부모님 세대처럼 마냥 은행에 적금, 예금만 할 수는 없다. 평소 투자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이 투자에 점차 관심을 갖기 시작하고 나이불문하고 특히 코로나 사태 이 후 「영끌」,「빛투」까지 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이 영향으로 주린이(주식초보자)들이 많아지면서 「몰빵」의 유혹에 빠지게 되는 사람들도 많은데 이번 글에서는 자산배분의 중요성과 그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자.

자산배분의 중요성

1. 자산 배분

자산 배분은 적절한 비율로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는 것인데 주식뿐만 아니라 채권, 원자재 등 다양한 종류에 투자하는 것이다. 윌리엄 번스타인 저서 「현명한 자산 배분 투자자」에서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을 거시 경제 흐름에 따라 적절한 비율로 배분하여 투자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2. 자산배분을 해야하는 이유

  • 리스크 최소화
    계란을 한바구니에 담지마라는 말이 있듯이 자산이 주식이나 부동산에 집중 되어 있다면 해당 주식과 부동산이 폭락한다면 자산은 급격하게 줄어들고 위험에 쉽게 노출 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감정들은 결국 손절을 하게 만들고 적당한 선에서 익절하게 된다. 자산 배분의 장점은 가격 변동성을 줄이고 투자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만든다. 어느 자산의 가격이 떨어져도 다른 자산이 방어해주고 전체적인 가격 변동성을 낮추게 된다. 다만 상관관계가 낮은 자산들로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는 전제조건이 붙는다.

자산배분에서는 어떤 것이든 높지 않은게 좋은데 상관관계가 제로에 가까운 자산들로 배분해야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 포트폴리오의 변동성을 줄여줄 수 있다.

투자를 그 당시 상황에 맞춰서 심리 상태가 따라가다보면 오르고 있는 자산은 매도하기 어렵고, 떨어지는 자산을 매수하기 어려워 진다. 자산 배분 전략에서는 이러한 심리에서 취약한 부분을 리밸런싱으로 해결 할 수 있다.

자산 배분 방법

1. 자산의 종류

자산의 종류에는 부동산, 주식, 채권, 원자재(원유, 농산물, 금, 은, 구리 자산별 투자 방법 등) 그리고 비트코인이 있다. 각 자산에도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는데 부동산에는 주거용, 상업용 주식은 성장주, 기술주, 배당주 등 수많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2. 자산별 투자 방법

부동산 투자는 직접 부동산을 매수, 매도하는 것이다. 다만 부동산은 거래 대금이 크고 쉽게 사고 팔수 없으며 레버리지를 일으켜야 할 때도 있다. 이런 점 때문에 개인이 소액으로 부동한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이게 바로 리츠(REITs) 투자가 있다.

■ 미국 리츠 투자 총정리 (주식 종목 외 월배당, ETF 등)

주식 투자는 개별 종목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고 뮤추얼 펀드나 ETF 등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개별 종목 투자는 회사의 재무 상태나 성장성등을 분석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은 회사를 분석하고 공부할 시간이 없다.

전문가들은 이런 경우 ETF 투자를 권장하고 있다. ETF는 Exchange-Traded Fund의 약자로 Index fund의 일종으로 주식과 마찬가지로 사고 팔 수 있고 지수에 따라 자체적으로 자산 배분을 한다. 최근에는 전기차 ETF, 성장주 ETF 같은 섹터별, 테마별 ETF 같은 매우 다양한 상품이 출시되어 베스킨라빈스31 처럼 골라 투자하는 맛이 있다.

채권은 우리가 정부나 회사에 돈을 빌려주고 받는 증서를 말하는데 일정기간 동안 정해진 이자를 받을 수 있으며, 주식보다 안전성이 높은 자산이다. 최근에는 물가와 연동하는 물가연동채권이 인기를 끌고 있다.

채권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공모에 참여하여 투자할 수도 있다. 하지만 초보자의 경우 채권 펀드나 채권 ETF로 접근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코로나 사태로 돈이 풀리기 시작하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물가잡기가 시작되었는데 헷지 수단으로 금을 포함 원자재 투자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원자재란 에너지 자산(원유, 가스등), 농산품(밀, 옥수수, 대두, 설탕), 산업재(금속, 구리 등), 귀금속(금, 은 등)이 있다.

원자재 대부분은 선물로 거래되며 초보 투자자가 접근하기 어려운데 원자재 ETF, 농산물 ETF, 금 ETF 등을 이용한다면 충분히 자산 배분 포트 폴리오에 원자재를 포함 시킬 수 있다.

■ 미국 원자재 ETF 정리
■ 미국 농산물 ETF 정리

아직 논란이 많은 비트코인은 『디지털 금』이라고도 하는데 인플레이션 헷지 수단으로 밀고있다. 향후 디지털 커런시 시대의 자산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최근 주요 금융기관에서 비트코인 투자를 시작하면서 가격이 오르고 있다.

■ 비트코인 투자 전망 및 포트폴리오 전략

비트코인에 투자하는 방법은 직접 비트코인 지갑을 만들고 투자하는 방법, 증권사(브로커리지)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직접 투자는 커스터디 이슈가 없고, 수수료를 아낄수 있지만 공부해야 할 것이 많다. 초보투자자라면 로빈후드 같은 브로커리지를 통해 간편하게 투자할 수 있다.

■ 로빈후드 주식 총정리
■ 비트코인 투자 방법 비교 및 후기

비상시 자금으로 쓸 수 있어야 하고, 가격이 떨어진 자산을 매입할 때 바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현금인데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현금은 실제 종이 화폐 뿐만 아니라 예금, CMA, RP 등도 포함 된다.

3. 자산배분 비율 구성

어떤 자산에 투자할지 정하였다면 이제 자산 배분 비율을 정해야 되는데 자산 배분 비율은 간단하게 주식(40%):채권(30

%):현금(30%) 처럼 나눌 수도 있고, 더 세분화하여 나눌 수도 있다. 자산 전망과 리스크를 고려하여 적절한 비율러 배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미국 주식의 경우 자산 배분 비율을 구성하고 Portfolio Visualizer 사이트를 통해 백테스트를 해볼 수 있다. 백테스트란 내가 구상한 자산 배분 포트폴리오에 과거 데이터에 반영했을 때 어느정도 성과를 나타내는지 살펴 보는 것이다. 위 이미지는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인데 2007년부터 2022년 현재까지 투자했을 때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4. 리밸런싱 (Rebalancing)

자산을 배분했다고 자산배분 전략이 다끝난것은 아니고 자산 배분의 핵심은 리밸런싱에 있기 때문인데 앞서 언급했듯이 리벨런싱은 자신이 정한 비율에 맞춰 주기별로 자산을 재배분하는 것을 의미한다.

주기는 보통 분기, 반기 또는 연 단위로 하는데 리벨런싱을 하면서 가격이 오른 자산을 일부 매도하고, 조정 받은 자산은 추가 매수하면서 전체적인 비율을 맞추고 균형을 맞춰 준다. 이 때 고가 매도, 저가 매수가 이루어진다.

자산배분 리벨런싱을 하다보면 자산을 사고 팔아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자산을 사고 팔 때 차익이 생기면 양도소득세를 내야한다. 양도소득세는 자산을 장기간 보유 할 경우 줄어들기 때문에 적절한 세금 계획을 세워야 한다.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전략

1. 올웨더 포트폴리오 전략

다양한 자산배분 포트폴리오 중에서도 4계절 포트폴리오라고 하는 레이 달리오의 「올웨더 포트폴리오」 전략이 있으며 레이 달리오는 세계 최대 헤지펀드인 브리지워터를 창립한 CEO이며, 유명한 투자가로 알려져 있다.

■ 올웨더 포트폴리오 투자 전략

2.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

자산 종류에 따른 자산배분도 중요하지만, 지역적인 분산도 중요한데 최근에는 한국에서도 미국, 중국, 신흥국 채권 등 글로벌 자산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글로벌 자산배분 전략은 지정학적 위험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자산배분 ETF 활용

손쉬운 자산배분 전략은 인덱스 펀드 투자인데 인덱스 펀드는 Dow, S&P 500, Nasdaq 같은 다양한 지수를 추종한다. 최근에는 주식처럼 사고 팔수 자산별 투자 방법 있는 Index Fund인 ETF가 자산배분 포트폴리오에 많이 활용 되고 있다.

특히 개별 종목 분석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 힘든 직장인 또는 개인투자자같은 경제 금융 상식이 부족한 초보 투자자에게는 ETF가 개별 종목 투자보다 안전하다. 다만, 투자 금액이 커지면 운용보수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투자 초보자 시절에는 ETF 위주로 투자해보면서 어느정도 실력이 쌓이면 개별 종목 비중을 높여보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 금융위‧금감원은 全 금융권과 함께 숨은 금융자산 조회시스템 운영 및 홍보 를 지속 추진 해왔습니다.

ㅇ 이를 통해 ’15.6월 이후 약 3.7조원 * 의 숨은 금융자산을 금융소비자에게 돌려드렸습니다.

* ’15.6월~‘19.12월 기간 중 실시한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 환급 실적

□ 그러나 여전히 숨은 금융자산이 약 16조원 * 에 이르고, 최근 2년간 규모 또한 지속 증가 (’19년:12.3조원, ’20년:14.7조원)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 21.12월말 기준 全 금융권 숨은 금융자산의 규모 는 약 16조원 (장기미거래 금융자산 12.0조원, 휴면금융자산 1.4조원, 미사용 카드포인트 2.5조원), 계좌 수 는 약 2억개

숨은 금융자산 현황(’21.12월말 기준)

주) 휴면금융자산 및 장기미거래 금융자산 등 정의는 3p 캠페인 대상 금융자산 현황 참조

⇒ 16조원의 숨은 금융자산이 쉽게 조회 후 환급될 수 있도록 全금융권 공동 「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 캠페인 을 추진합니다.

□ (주관) 금융위,금감원,금융결제원,서민금융진흥원,한국예탁결제원, 금융협회 (은행연합회 등 6개 금융협회)가 공동 으로 주관 하고,

ㅇ 은행, 보험, 증권사, 저축은행 등 全 금융회사 * 가 캠페인에 참여 하여 금융소비자의 숨은 금융자산 을 안내할 계획 입니다.

* 상호금융업권은 ‘21.11.5.~12.24. 기간 중 ’휴면 예·적금 등 찾아주기 캠페인‘을 旣실시하여 금번 캠페인에 미참여

□ (대상 자산) 예금, 보험금, 증권, 신탁 등 全 금융권 에 걸쳐 장기간 거래되지 않거나 휴면상태인 금융자산 등이 대상입니다.

ㅇ 특히, 금번부터는 미사용 카드포인트 를 캠페인 대상으로 신규 포함 하여 더욱 다양한 금융자산 환급 효과 가 기대됩니다.

□ (시기) ’22년 4.11일부터 5.20일 까지 6주간 실시 합니다.

캠페인 대상 금융자산 및 주관 기관

요구불예금‧저축성예금 중 청구권 소멸시효(5년)가 완성된 이후에 고객이 찾아가지 않은 예금

개인이 보유한 3년 이상 입‧출금 거래내역이 없는

(압류, 비실명계좌 등 지급곤란 계좌 및 휴면예금 등 제외)

보험계약 실효·해약(만기) 후 3년(’15.3월 이전 2년)이 지나 소멸시효가 완성된 보험금(해약환급금‧만기보험금)

6개월 이상 매매 또는 입출금이 없는 계좌로서 예탁자산 평가액이 10만원 이하 계좌

투자자가 증권사로부터 실물주권을 찾아간 후 명의개서를 하지 않은 주식으로부터 발생한 배당금 및 배당주식

신용·체크카드 이용금액에 따라 적립되는 포인트로서 유효기간(5년) 경과 후 소멸

□ 홍보포스터, 온라인 등을 통해 대국민 홍보 를 실시하고, 숨은 금융자산 * 보유 금융소비자 에게도 조회 방법 을 개별 안내 할 계획입니다.

* 압류·지급정지 등 환급 불가 계좌 등은 제외

① (대국민 홍보-오프라인) 홍보 포스터·안내장 (리플릿)을 제작·배포하여 각 금융회사 영업점·창구 에 게시 할 예정이고

- 금융회사 영업점 內 모니터, 전광판, ATM 화면 에 홍보물 을 띄우는 등 접근성이 높은 다양한 매체 를 통해 홍보 를 실시 합니다.

② (대국민 홍보-온라인) 금융회사 홈페이지, 앱, SNS 등에 홍보물 및 조회시스템 링크 를 팝업 으로 게시하는 온라인 홍보 도 진행합니다.

- 금감원 금융소비자포털 * (파인) 및 블로그 를 통한 홍보 ,

* 금감원 금융소비자포털(파인) 內 ‘잠자는 내 돈 찾기’ 메뉴에서 각 권역별 숨은 금융자산 조회 및 환급 서비스를 상시 제공 중

- 금융회사 및 금융협회·유관기관 홈페이지, 블로그, SNS 등에도 병행 게시 하여 홍보 효과 를 제고 할 계획입니다.

③ (대고객 개별 안내) SMS·RCS * ·알림톡, 이메일, 앱푸시 등 다양한 매체 를 통해 대고객 개별 안내 를 실시 할 계획입니다.

* RCS (RichCommunicationSuite) : 발신 기업의 로고가 보이는 등 기존 SMS 대비 문자의 신뢰도와 전달 효과가 높은 차세대 메시지 서비스

▶「全 금융권 공동 숨은 금융자산 찾아주기 캠페인」에 따라 숨은 금융자산 조회 방법을 안내드리고 있습니다. 은행에 휴면예금 또는 장기미거래 예금이 있는지 확인하시고, 있을 경우 환급 받으시기 바랍니다.

【대고객 개별 안내에 따른 금융회사 등을 사칭한 스미싱‧보이스피싱 주의】

1) 금융회사 및 금융협회 등은 전화 또는 문자메시지를 통해 신분증 등 개인정보 나 계좌 비밀번호 등 금융정보 를 요구하지 않으며, 숨은 금융자산 환급을 위한 수수료 명목 등 금전의 이체 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아울러 인터넷주소 (URL)도 제공하지 않으므로 출처가 불분명한 URL을 클릭하지 않도록 주의 하시기 바랍니다.

2) 따라서, 개인정보 등을 요구하는 행위에 응하지 말아야 하며 , 의심이 되거나 확인이 필요한 경우 관련 금융회사‧금융협회 콜센터 등 공신력 있는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직접 확인 해보시기 권고드립니다.

3) 피해가 의심 된다면 스미싱의 경우, 한국인터넷진흥원(☎118), 보이스피싱의 경우 해당 금융회사 콜센터, 경찰청(☎112) 또는 금감원(☎1332)에 즉시 전화하여 확인하고 피해 발생시 계좌의 지급정지 등을 신청 하시기 바랍니다.

※ 홍보포스터 등 대국민 홍보 실시 시 스미싱‧보이스피싱 주의 문구도 게시

「 숨은 금융자산 」 별 조회 방식

☑ 숨은 금융자산 은 온라인을 통해 쉽게 조회‧환급 신청 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모바일 을 통해 先 조회 후 환급 신청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 특히, 금감원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에서는 모든 숨은 금융자산 조회 가 가능

가.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을 통한 조회

□ 금감원 금융소비자정보포털 「 파인 」(fine.fss.or.kr)에서는 全 금융권 의 숨은금융자산, 미사용카드포인트를 모두 조회 할 수 있습니다.

「 파인 」 에서 「 숨은 금융자산 」 을 조회하는 방법

나. 장기미거래 금융자산 조회

□ 금융결제원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에서 은행, 저축은행, 증권사 등에 개설된 본인 명의 계좌 를 일괄 조회 할 수 있습니다.

ㅇ 소액비활동성 계좌 * 는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에서 즉시 본인 명의의 타계좌 로 잔고이전 후 해지 가 가능합니다.

* 1년 이상 입출금 거래가 없고, 잔액이 50만원 이하인 계좌(펀드‧ISA, 외화예금 제외)

□ 휴면예금‧휴면보험금 은 서민금융진흥원 1) 및 은행연합회 등 금융협회 2) 조회시스템 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1) 서민금융진흥원 「휴면예금 찾아줌」

2) 은행연합회 「 휴면계좌 통합조회시스템 」, 생명‧손해보험협회 「내보험 찾아줌」, 저축은행중앙회 「휴면예금조회서비스」

ㅇ 휴면성증권 은 금융투자협회 「 휴면성증권계좌 조회시스템 」, 실기주과실 은 한국예탁결제원 「 실기주과실 조회서비스 」에서 각각 조회 가능합니다.

□ 미사용 카드포인트 는 여신금융협회 「 카드포인트통합조회서비스 」 및 금융결제원 「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 」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 금융소비자는 잊고 있던 소중한 금융자산 을 쉽게 조회 후 환급 받아 생활자금 등에 활용할 수 있고,

ㅇ 장기간 미사용계좌 를 방치 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 을 미연에 방지하여 사회적 비용 발생 을 예방 할 수 있습니다.

* 대포통장 등 금융범죄 악용 가능성 및 은행 등의 계좌관리 비용 증대 등 사회적 비용 발생

□ 금융회사 도 금융소비자의 숨은 금융자산 을 적극적으로 찾아줌 으로써 금융 에 대한 대국민 신뢰도 제고 에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