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사 거래 시작
공유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를 확대 및 축소하실 수 있습니다.
골드만삭스, 비트코인 옵션 OTC 거래 시작
블록스트리트 등록 2022-03-22 10:29 수정 2022-03-22 10:29
월가 최초의 가상자산 옵션 OTC 거래
한정수량 비트코인을 통한 자금유치 가능
글로벌 금융기관 최초의 가상자산 OTC 거래가 시작됐다.
21일(현지시간) 다수의 외신 보도에 따르면 골드만삭스가 갤럭시 디지털과의 협업을 통해 첫 'OTC(장외거래)' 가상자산 옵션 거래를 완료했다.
이번에 이뤄진 거래는 비트코인 '차액결제옵션(Non-deliverable option)'으로 발생한 거래 결과에 대해 실물은 주고받지 않고 만기일에 행사가와 만기시점 가격의 차액만을 현금으로 정산하는 파생상품이다.
해당 거래는 차액만 주고받는다는 점에서 일반 옵션에 비해 투자적인 성향을 강하게 갖는 파생상품이며 가상자산을 현물로 보유하지 않아도 거래에 참여할 수 있다. 가상자산 현물에 대한 직접적인 투자가 아니라는 점과 투자적인 성향을 모두 갖췄다는 점에서 기관 투자자들의 구미를 모두 당기게 할 만한 파생상품이다.
현재 글로벌 기관들의 가상자산 투자 비율은 놀라운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코인베이스의 리서치에 따르면 약 1조 1400억 달러 규모의 가상자산이 기관 투자자들 사이에서 거래되었으며 이는 전년 대비 1200억 달러 증가한 수치이다.
이번 거래는 '금융의 중심지' 월가에서 이뤄진, 월가를 대표하는 글로벌 금융기관이 참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갖는다. 이를 두고 많은 외신들은 "가상자산의 메이저 금융 시장 진출 확대로 이어질 만한 기념비적 사건"이라 평했다.
골드만삭스의 아시아태평양 디지털자산 부문장인 맥스 민턴은 "갤럭시 디지털과 함께 우리의 첫 가상자산 옵션 거래를 완료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갤럭시 디지털의 글로벌 시장 책임자인 다미엔 밴더빌트는 "가상자산 거래 통로로 OTC를 고려중인 다른 금융회사로도 문이 넓어지기를 기대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갤럭시 디지털의 마이클 노보그라츠 CEO는 적극적인 '가상자산 예찬론자'로, 비트코인을 '디지털 금'으로 묘사한 바 있다.
비트코인을 금에 비유했을 때, 골드만삭스의 비트코인 금융상품 판매는 금본위제 달러를 연상시키기도 한다. 한정수량인 OTC 거래 시작 - 블록스트리트 금과 연동해 달러를 발행할 수 있는 원리로, 여기에는 금과 달러의 비율 조정이 적용된다. 한정된 수량의 비트코인으로 많은 금융상품 개발과 자금 유치가 가능하다.
미국 주식, 이건 꼭 알아두세요! 국내 주식과 차이점
사실 미국 주식도 국내 주식과 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미리 알아두지 않으면 당황할 만큼 크게 다른 점도 있습니다. 미국 주식과 국내 주식의 차이점이자, 미국 주식을 시작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것 세 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첫 번째, 거래시간이 다르다!
우리나라와 미국 사이에는 시차가 있죠. 그 시차만큼 미국 주식시장은 늦게 열립니다. 미국 주식 거래 시간은 우리나라 기준으로 오후 11시 30분부터 오전 6시까지입니다.
썸머타임(3월 중순~11월 초)에는 거래시간이 1시간씩 앞당겨져요. 우리나라 시간 기준으로 오후 10시 30분부터 오전 5시 사이에 거래할 수 있습니다.
국내 주식처럼 미국 시장도 장전, 장후 시간외 거래를 할 수 있는데요. 단, 시간외 거래가 가능한 프리마켓과 에프터마켓 시간은 증권사마다 차이가 있으니 유의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증권사앱에서는 15분 지연되는 시세를 보여줘요. 요즘은 유료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많지만 실시간 시세를 반영해주는 별도의 앱을 활용하여 거래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두 번째, 상한가 or 하한가가 없다!
국내 주식은 하루동안 주가가 움직일 수 있는 폭, 가격제한폭이 정해져 있습니다. 한 종목의 주가가 전날 종가를 기준으로 30% 넘게 상승하거나 30% 넘게 하락할 수 없어요. 가격의 상한선과 하한선이 존재하는 거죠.
하지만 미국 증시시장에는 가격제한폭이 없습니다. 마치 암호화폐 거래처럼 말이죠. 그래서 하루에도 500%, 1000% 넘는 상승종목이 나올 수도 있고, 정반대의 경우도 아주 자주 발생해요.
특히 요새 미국 주식시장의 골칫덩이인 '밈(meme)주식'의 경우 가격제한폭이 없어 생기는 급등락 현상이 비일비재하니 유의하세요!
📌 밈 주식이란? 소셜 미디어나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판 등에서 입소문을 타고 오르는 종목을 뜻하는 신조어
세 번째, 섹터와 티커
미국 주식시장에는 아주 많은 주식이 상장돼있습니다. 이걸 쉽게 분류하기 위해 비슷한 산업군의 주식을 모아 '섹터' 단위로 묶어두었는데요. 현재는 글로벌 지수 산출기관인 MSCI와 S&P가 1999년 개발한 글로벌 산업분류기준(GICS) 방식에 따라 11개의 대표 섹터로 분류됩니다.
현재 미국 주식시장의 11개 대표 섹터는 에너지, 소재, 산업재, 임의소비재, 필수소비재, 헬스케어, 금융, 정보기술,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유틸리티, 부동산(리츠)이 있어요. 11개 섹터는 24개 산업그룹으로 분류되고, 69개 산업과 158개 하부산업으로 다시 나뉩니다.
국내 주식을 할 때는 특정 주식을 검색할 OTC 거래 시작 - 블록스트리트 때 '종목명'이나 '종목코드' 6자리를 입력하죠. 미국 주식시장은 조금 다릅니다. 종목코드가 대문자 알파벳으로 돼있거든요. 정식 명칙은 '티커(tiker)'입니다.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종목의 경우 티커가 3자리, 나스닥에 상장된 종목의 경우 티커가 5자리의 알파벳으로 구성됩니다. 테슬라는 TSLA, 애플은 AAPL이 티커예요.
미국 주식의 11가지 섹터 별 대표 티커는?
✔️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S&P500에서 약 28%의 비중을 차지하는 섹터입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관련 기업을 포함하고 있어요. 대표적인 기업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FT)가 있습니다.
✔️ 헬스케어(Health Care)
제약과 생명공학 제품의 연구개발, 건강관리 장비 공급 및 제조 등 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로 구성된 섹터입니다. 타이레놀을 공급하는 존슨앤드존슨(JNJ)과 코로나19 백신 개발로 널리 알려진 화이자(PFE) 등이 있어요.
✔️ 임의소비재(Consumer Discretionary)
임의소비재는 필수적이진 않지만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상품을 의미합니다. 자동차, 사치품, 호텔, 소매판매업체 등이 임의소비재 섹터에 속해요. 운동복 브랜드로 유명한 나이키(NKE), 유통시장에 혁신을 가져온 아마존(AMZN)이 대표적인 기업입니다.
은행, 투자은행, 자산관리, 보험 및 투자와 관련된 기업들로 구성된 섹터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융기업 중 하나인 JP모건(JPM), 워렌 버핏의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BRKa, BRKb) 등이 속해 있어요.
✔️ 커뮤니케이션 서비스(Communication Services)
통신서비스,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업체로 구성된 섹터입니다. 구글(GOOGL), 디즈니(DIS) 등이 있어요.
산업재 OTC 거래 시작 - 블록스트리트 섹터는 산업에서 활용되는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포스트잇으로 널리 알려진 3M(MMM), 세계 최대 건설 및 광산 장비 회사 캐터필러(CAT) 등이 있습니다.
✔️ 필수소비재(Consumer Staples)
필수소비재 섹터는 식품, 위생용품, 가정용품 등 우리가 매일같이 사용하는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 속해있습니다. 헤드앤숄더와 질레트 면도기로 잘 알려진 프록터앤드갬블(PG), 코카콜라(KO) 등이 있어요.
석유, 가스 등의 에너지 섹터입니다. 작년과 올해는 코로나19로 인해 원유 가격의 변동성이 굉장히 컸어요. 코로나19 여파로 한떄 극심한 타격을 받은 엑슨모빌(XOM) 등의 기업이 포함돼 있습니다.
화학, 건축자재, 금속 등 소재 전문 기업들로 구성된 섹터입니다. 산업용 가스 생산 및 유통 사업을 영위하는 린데(LIN), 수자원, 위생 및 에너지 관련 기술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코랩(ECL) 등의 기업이 있어요.
유틸리티 섹터는 전기, 가스, 수도와 같은 인프라 사업과 관련된 업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이든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수혜주로 OTC 거래 시작 - 블록스트리트 분류된 북미 최대 에너지 기업인 넥스테라 에너지가 여기에 속해요.
✔️ 부동산(Real Estate)
부동산 투자 신탁 등 부동산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업체로 구성된 섹터입니다. 월 배당으로 유명한 리얼티인컴, 통신용 인프라를 임대하는 아메리칸타워 등의 기업이 속해요.
Home > 부동산 > 부동산 일반
+ A - A
"부동산 침체 시작인가"…서울 아파트, 올해 하락거래 상승거래 제쳤다
올해 상승거래 2604건, 하락거래 2722건 기록
금리 인상에 거래량 줄고 하락거래 비중 커져
19일 서울 여의도 63스퀘어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의 아파트 밀집지역. [연합뉴스]
올해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 중 하락 거래 비중이 상승 거래 비중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OTC 거래 시작 - 블록스트리트 인상 등 대외적인 영향을 받아 아파트 시장이 침체기로 전환하는 신호탄으로 볼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2일 직방이 단지별로 '동일면적 직전 거래가격' 대비 5% 이상 상승·하락한 거래 추이를 분석한 결과 올해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중 상승거래는 2604건, 하락거래는 2722건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서울에서는 상승 거래 비중이 하락 대비 약 4배까지 컸지만 올해 들어서는 하락 거래 비중의 절반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올해 1~2분기에는 ±1% 오차범위(보합)를 넘어서는 하락거래의 비중이 40%를 넘어 지난 2019년 1분기 이후 가장 큰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3분기에는 오차범위를 넘어서는 하락거래의 비중이 전체의 54.7%로 최근 10년 동안 가장 컸다.
서울 아파트 매매거래 자체도 줄어드는 추세다.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올해 1분기 3333건, 올해 2분기 4567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4675건)에 이어 5000건 미만 수준에 갇혀있는 모습이다. 서울은 2018년 4분기~2019년 1분기 거래량이 대폭 감소했던 시기를 넘어서는 '거래 절벽' 상태로 접어들고 있다.
이처럼 금리 인상과 같은 대외 여건들로 인해 최근 아파트 시장은 가격 하락과 거래량 감소 등 침체 국면에 들어서는 분위기이다. 본격적인 시장 침체가 발생하면 매수 심리는 줄어들고 매도 심리가 증가해 기존에 형성된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에 매매하는 하락거래의 비중이 증가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상승거래 만큼은 아니지만 하락거래량 또한 같이 줄어들고 있다는 점을 통해 주택 보유자들이 급하게 아파트를 처분하는 대신 시장 상황을 관망하는 경향이 짙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하락거래의 비중이 커지는 최근 동향은 아파트 시장이 침체기로 전환하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며 "고금리와 불경기 등 아파트 시장을 둘러싼 대외 여건이 여전히 우호적이지 않기 때문에 거래가 줄면서 하락거래 위주로 거래하는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하락거래도 상승거래 만큼은 아니지만 함께 줄어들고 있는 것을 보면 주택 보유자들이 시장 상황을 관망하는 모습"이라고 덧붙였다.
박지윤 기자 [email protected]
위클리 뉴스 ( 2022.08.29 )
‘비욘드 코리아’ 순항하는데도 꿈쩍 않는 카카오 주가 [빅테크 기업의 해외 도전기①]
라인 빼면 아직 시시한 네이버의 글로벌 3.0 도전 [빅테크 기업의 해외 도전기②]
상장 이후 쏘카의 미래…“올해 흑자 전환, 슈퍼앱 전략으로 성장할 것”
[2022 대한민국 100대 기업 CEO] 석유·화학 약진 속 제약·바이오 부진
[2022 대한민국 100대 기업 CEO] 59세 서울대, 경영학과 출신이 주류
부동산>부동산 일반 섹션 뉴스
'서울 불패'는 옛말?…서울 아파트도 1순위 청약 미달 속출
유승종합건설, 공공지원 민간임대 '진접 유승한내들 더테라스' 견본주택 개관
최정훈 이도 대표, 폐기물 처리 신재생분야 운영 방향 제시
DL이앤씨, KT와 손잡고 건설 분야 메타버스 생태계 구축
규제지역 광역시, 부동산 '시들'…비규제 중소도시 '풍선효과'
Log in to select media account
Social comment?
지난 4일부터 중국 본토와 홍콩 증권거래소 간 상장지수펀드(ETF) 교차 거래인 ETF 커넥트(ETF Connect)가 4일부터 공식적으로 시작됐다. ETF 커넥트가 시작된 이날 중국은 홍콩과의 이자율 스와프 교차 거래 허용 방침도 발표해, 위안화 역외 자본 허브로서의 홍콩의 지위 강화를 시도하고 있다.
4일부터 중국 본토와 홍콩 증시 간 교차 거래 시스템에 상하이 53개, 선전 30개, 홍콩 4개 총 87개의 ETF가 추가되었다. 이로써 홍콩에 계좌를 보유하고 있는 외부 투자자들은 홍콩 증권거래소를 통해 상하이와 선전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ETF 83개를 거래할 수 있게 되는 반면 중국 본토 투자자들은 상하이와 선전 증권거래소를 통해 홍콩증권거래소에 상장된 ETF 4개를 거래할 수 있다. 차이나AMC(China Asset Management)는 이번 ETF 커넥트 시행으로 앞으로 1,2년 이내에 2천억 위안(US$298억) 상당의 투자를 유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한편 ETF 거래가 양방향으로 허용됐다고 하지만 실질적으로 중국 투자자들이 홍콩을 경유해 외부로 투자하는 것보다 외부 투자자들의 중국 본토 투자가 확대될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션완홍위안 그룹(Shenwan Hongyuan Group)과 화촹증권(Huachuang Securities)의 데이터에 따르면, 상하이와 선전에서 거래되는 ETF는 총 694개로, 1조5천억 위안에 달한다. 지난해에만 ETF 시장이 30% 성장했다. 반면 홍콩에서 거래되는 ETF는 150개에 불과하며, 시장 규모도 4059억 홍콩달러(US$517억)에 불과해, 중국에 비해 작다.
이 밖에도 같은 날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홍콩 금융관리국과의 공동 성명에서 빠르면 올해 말 외부 투자자들이 홍콩 시스템을 경유해 중국 내 이자율 거래 파생 시장에 접근할 수 는 새로운 스와프 커넥트(Swap Connect·互換通)를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커넥트 프로그램을 통해 중국 채권을 보유한 외부 투자자들이 이자율 파생 시장에 참여해 자산의 위안화 자산의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판공셩(Pan Gongsheng) 중국인민은행(PBOC) 부총재는 “전 세계 투자자의 보유하고 있는 중국 위안화 역내 채권은 2017년 이후 매년 40% 증가했으며, 총 3조7천억 위안 규모로 성장했다”고 말했다.
또한 중국인민은행에 따르면 2009년부터 시행해온 통화스와프를 상시 통화스와프로 격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통화스와프 규모도 60% 증가한 8천억 위안으로 확대했다. 인민은행은 장기적으로 홍콩 시장 유동성을 지원하면서 시장 안정화를 유지하고, 홍콩의 역외 위안화 시장 개발 촉진을 OTC 거래 시작 - 블록스트리트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의 다양한 커넥트 프로그램 추진은 본토 금융 시장에 외국 자본을 더욱 적극적으로 유치하는 동시에 중국의 주요 대외 개방 창구이자 아시아 금융 허브이면서 위안화 역외 허브인 홍콩의 위상을 한층 강화하기 위한 시도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1일 홍콩을 방문해 “(국제금융, 무역 등) 홍콩의 강점을 반드시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존 리 행정장관은 채권퉁(債券通·Bond Connect) 5주년 온라인 세미나에서도 “홍콩이 국제 금융 센터로서 성장한 과정에서 중국의 꾸준히 발전이 OTC 거래 시작 - 블록스트리트 홍콩에 대한 가장 견고한 지원이라는 사실을 목격했다”고 밝혀 중국 금융 시장과의 연계 강화 중요성을 강조했다.
중국은 2014년부터 중국 본토와 홍콩의 금융 시장을 연계하는 다양한 커넥트 프로그램을 시행해 본토와 홍콩 간 금융 협력이 계속 확대해왔다. 2014년과 2016년에는 OTC 거래 시작 - 블록스트리트 외국인 투자자가 홍콩거래소를 통해 중국 상하이거래소와 선전거래소 상장 주식에 투자할수 있는 스톡 커넥트(Stock Connect)인 후강통(滬港通)과 선강통(深港通)을 출범시켰다. 2017년에는 위안화 채권을 구매할 수 있도록 채권퉁을 도입해 채권 시장 개방에 나섰다. 2019년에는 OTC 거래 시작 - 블록스트리트 후룬퉁(滬倫通·상하이와 런던 증시 교차 거래), 지난해에는 리차이퉁(理財通·대만구 역외 금융상품 교차 투자) 등 자본시장 연계 메커니즘이 지속적으로 추진됐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