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목균형 지표
안녕하세요. 오늘은 대표적인 보조지표 "일목 균형표"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로 주식투자시 거의 모든 분들이 차트를 보면 보조지표들을 확인 할텐데요.
일목 균형표는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만, 해석의 주관성이 들어 갈 수 있는 지표 입니다, 여러가지의 정보와 지표들이 함께 나타내 주기 때문에, 다른 보조 지표도 마찬가지이지만, 보조지표로서 절대적인 매매 기법은 아님을 인지하고 활용해야 겠습니다.
1. 전환선과 기준선의 교차(골든 크로스, 데드크로스) 활용 2. 기준선의 방향에 따른 매매 3. 구름대의 지지와 저항 4. 후행스팬과 주가의 교차 활용, 후행스팬과 전환선의 교차 활용 5. 선행스팬 1, 2의 교차(양운에서 음운으로, 음운에서 양운으로) 활용 |
1. 전환선 = (일목균형 지표 과거 9일간의 최고가 + 과거 9일간의 최저가) / 2 2. 기준선 = (과거 26일간의 최고가 + 과거 26일간의 최저가 ) /2 3. 후행스팬 = 당일 종가를 26일 전에 기록 4. 선행스팬 1 = (당일 기준선 값 + 당일 전환선 값) / 2 5. 선행스팬 2 = (52일 최고가 + 52일 최저가 ) / 2 |
구성요소 | 의미 |
전환선 | 단기 이동 평균선으로 해석 ( 당일 포함 9일 간 최고,최저 중간값) |
기준선 | 중기 이동 평균선으로 해석 ( 당일 포함 26일간 최고, 최저 중간값) |
후행스팬 | 당일 종가를 26일 전 으로 위치 시킴으로, 현재의 주가 수준을 파악 |
선행스팬 1 | 전환선과 기준선의 평균값을 26일 앞에 기록한 선, 미래 주가의 움직임을 파악 |
선행스팬 2 | 과거 52일 최고치와 최저치의 중간값을 26일 앞에 기록, 선행스팬1과 함께 표시하여 구름대를 형성해 지지와 저항의 역활을 함 |
매매 방법 | 설명 |
전환선 과 기준선 | -전환선 : 단기 이동 평균선 -기준선 : 중기 이동 평균선 두 이동 평균선의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로 분석하고 매매 |
*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 돌파 : 매수 신호
* 전환선이 기준선을 하향 돌파 : 매도 신호
음운(푸른 영역)은 저항의 영역
양운(붉은 영역) 은 지지의 영역
- 아래 종목은 10월23일 전환선과 기준선이 골든크로스 했네요. 이미, 그 이후 기준선도 상향 돌파 중이네요.
아직 전환선, 기준선 모두 상향 중인 종목 입니다.
- 기준선의 방향 : 상향 돌파 중이네요
- 구름대의 방향 : 양운이 크게 펼쳐지고 있어 지지를 형성하는 듯 합니다
- 후행 스팬 : 이미 전환선을 멀찌 감치 상향돌파 하고 있는 상황이네요.
* 일목균형표 상 본 종목은 11월 초에 신규 매수 했어야 하며, 그러나 아직 상승기조에 있는 종목임
- 전환선 과 기준선 : 12월 3일 골든 크로스가 발생하였습니다.
- 기준선 방향 : 기준선이 골든크로스 후 상향 중에 있습니다. 장대 양봉을 나타낸 상태이네요.
- 구름 대 방향 : 10월 20일 양운으로 변경되었고, 아직 그 구름대는 양운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즉 그 가격대를 지지 할 듯 합니다. 15680원 대 지지선을 만들고 있는 상황이네요.
일목균형 지표
곰푸우야
일목균형표 본문
일목균형표
지난 시간까지 주식, 경제에 관해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용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기본적인 내용을 이해했다면 그중 주식 투자의 기본이 되는 차트에 대해 지금부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중 가장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일목균형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목균형표 개요
일목균형표는 주가의 움직임을 표현한 5가지의 선으로 이를 이용하여 추후 주가를 예상할수 있는 도구 중 하나로 HTS, MTS 모두 설정이 가능합니다. 일본 주식 전문가인 호소다 고이치(일목산인)가 개발한 것으로 특히 선행성과 후행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주가 예측에 매우 유용합니다. 일목균형표는 기준선, 전환선,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 후행스팬으로 나뉘며 종가로 작성되는 이동평균선과는 다르며 매매타이밍을 포착할 때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대형주가 흐름 예측에 유리하나 소형주에서는 오류가 많은 편입니다. 일목균형표의 주체는 시간이며 가격은 2차적인 개념으로 서양의 엘리엇 파동 등과는 다른 모형입니다.
일목균형표 구성
일목균형표상 기준이 되는 기준선은 26일간 최저와 최고값 사이의 중간값의 선을 의미합니다. 최근 9일간 최저와 최고 사이 중간을 전환선이라고 합니다. 기준선보다 높을 경우 상승추세, 낮을 경우 하락 추세를 의미한다고 볼 수 있으며 매도, 매수세력의 힘의 균형을 알 수 있는 선입니다.. 후행스팬은 현재 주가를 26일 전으로 표기하며,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를 합쳐 그 차이를 표시하는 구름대가 있습니다. 선행스팬 1은 기준선과 전환선의 중간값을 26일 동안 이어놓은 선이고 선행스팬 2는 지난 52일간의 최고, 최저가의 중간값을 26일간 이어 놓은 선입니다. 둘 다 26일을 앞당겨 이어놓은 선으로 같은 위치에서 이동하며 구름대는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며 이들을 지표론이라고도 합니다.
일목균형표 활용
일목균형표는 활용도가 높고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나 꽤나 복잡한 지표입니다. 전환선이 기준선을 위로 돌파하면 골든크로스, 반대로 아래로 돌파하면 데드크로스라고 합니다. 기준선보다 전환선이 위에 위치하는 것을 정배열, 반대를 역배열이라고 합니다. 정배열의 경우 상승추세라고 볼수있고 역배열의 경우 하향추세라고 볼 수 있어 이 둘의 교차지점이 매우 중요하게 됩니다. 일목균형표에서 구름층에 주가가 닿으면 주가는 상승 또는 하락할 수 있는데 구름대의 두께가 클수록 지지나 저항에 대항 강도가 높고 이 구름대를 뚫고 나갈 경우 강한 흐름을 예측할수있습니다. 선행스팬 2가 선행스팬 1보다 아래에 있으면 양운, 반대는 음운이라고 하며 이는 매수와 매도 중 어느 것이 강세인지를 알 수 있습니다. 이 구름대 아래에 주가가 위치하고 있다면 수익을 내기 어렵다고 볼수 있습니다.
일목균형표는 방대한 양과 심오한 내용으로 완전히 이해하기란 어렵습니다. 또한 1930년도에 만들어져기에 현대투자시장에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 보조지표정도로만 활용할 필요가 있고 일목균형표를 이해해둔다면 주가 흐름을 읽을 수 있는 기초를 다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이를 갖고 확신하기 어렵기에 다른 보조지표나 시장상황을 고려하여 안전한 투자를 해야 할 것입니다.
일목균형 지표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 UPDATED. 2022-09-04 12:42 (일)
- WIKI Korea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최종원 기자
- 승인 2020.02.12 09:59
- 수정 2020.02.12 09:59
- 댓글 0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 메일보내기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두나무가 지난 1월 6일부터 2월 5일 한 달간 업비트 이용자의 차트 이용 패턴을 분석한 결과 기본 보조지표인 이동평균선 외 가장 많이 설정된 보조지표 1~5위는 일목균형표, 볼린저밴드, 매물대, 상대강도지수 (RSI), 이동평균수렴 (MACD) 순으로 집계됐다.
[사진=업비트]
블록체인 및 핀테크 전문 기업 두나무(대표 이석우)가 12일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 이용자에게 가장 인기 높은 보조지표 순위 Top 5을 공개했다.
업비트는 투자자가 암호화폐 차트 분석 시 가격 변동 패턴, 중장기적 추세 등에 대해 더욱 포괄적이고 실용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플랫폼별 특화된 차트 기능을 제공 중이다.
작년 PC 웹에 차트 분석 아이디어 공유 서비스인 트레이딩뷰 차트와 매수/매도의 호가 누적 잔량을 확인할 수 있는 마켓뎁스 차트를 추가했고 지난 1월 29일에는 안드로이드와 iOS 앱에 새로운 보조지표 7개를 추가하고 차트 화면 분할 기능, 보조지표 상세값 노출, 보조지표 중복 설정 등의 신규 기능을 선보이며 차트 및 보조지표 기능을 대폭 개선했다.
일목균형표.
1위인 일목균형표 차트는 전환선, 기준선, 후행 스팬, 선행 스팬 1, 선행 스팬 2 다섯 개의 요소로 구성되어 있어 여러 단위 기간에 대한 지표를 단일 차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부분 후행성을 띄는 보조 지표와 달리 선행성까지 갖추고 있어 향후 시장 추세를 예상하고자 할 때 유용하다.
2위는 주식 차트 분석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보조지표인 볼린저밴드이다. 일반적으로 상위 (Upper) 밴드 및 하위 (일목균형 지표 Lower) 밴드 초과 여부에 따라 시장의 과매수, 과매도 상태를 파악하고 밴드의 폭에 따라 시장의 변동성을 분석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매물대는 VPVR(일목균형 지표 Volume Profile Visible Range)로도 불리는 지표로, 매물대가 집중되어 있는 가격대를 가로형의 막대그래프로 확인할 수 있다. 일정 가격 구간에 거래된 물량을 확인하고 해당 암호화폐의 지지선 및 저항선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상대강도지수(RSI).
상대강도지수(RSI)는 특정 암호화폐의 과매도 및 과매수를 판단하기 위해 이용된다. 기간 설정 후 RSI 지표가 과매수일 경우 매도, 과매도일 경우 매수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 전략이다. 단, 절대적인 지표가 아니기 일목균형 지표 때문에 해당 암호화폐의 특성과 타 보조지표를 감안한 종합적인 판단이 중요하다.
MACD는 이동평균선의 지표의 진화형으로, 단기 이동평균값과 장기 이동평균값간의 차이인 MACD 곡선과 신호 (Signal) 곡선의 교차 시점을 기반으로 암호화폐 매수, 매도 시점을 판단한다. 간편한 사용성과 시각적 편의성 때문에 가장 대중적으로 이용되는 투자 보조지표 중 하나다.
업비트 담당자는 “기존 금융 투자 시 익숙한 보조지표들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나 고객들의 투자 지식이 날로 높아지고 있어 각자 전략에 따라 다양한 기술적 분석 도구들을 활용 중”이라며, “올해 1월 모바일 앱 업데이트에 이어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쉽고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계속 차트 기능을 개선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주식차트보조지표: 일목균형표 (Ichi Moku Kinkou Hyo)
시간과 가격과의 관계를 독특하게 설명 하는 유일한 동양적인 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보조지표이다.
일목균형표의 개념
일목균형표의 이름은 시장의 '균형'을 '일목요연'하게 나타내는 '표' 라는 뜻을 나타낸다.
즉, 시세의 움직임에 중점을 두었는데 일목산인은 매입세가 시장에서 우위를 나타내면 가격이 상승하고,
반대로 매도세가 시장에서 우세하다면 가격이 하락하는 시장의 원리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표로 만든 것이다.
일목균형표를 세부적으로 깊게 들어가면 가격론, 시간론, 파동론, 형보론 등 자세하게 나뉘지만,
여러 가지의 다른 기술적 지표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굳이 일목균형표의 모든 것을 세세히 알 필요는 없다고 생각하여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들만 다룬다.
일목균형표의 계산법
일목균형표는 기본적으로 5개의 변수(선)가 존재한다 - 기준선, 전환선, 선행스팬 1, 선행스팬 2, 후행스팬-이다.
변수설정
위의 사진에서 보듯이 HTS나 MTS에 입력만 하면 다 계산해주지만, 계산식은 아래와 같다.
참고로 계산에 필요한 기간은 원하는 수치로 변경 가능하다.
전환선 = (최근 일목균형 지표 9일간 최고가 + 최근 9일간 최저가) / 2
기준선 = (최근 26일간 최고가 + 최근 26일간 최저가) / 2
선행스팬 1 = (당일의 기준선 값 + 당일의 전환선 값) / 2
선행스팬 2 = (최근 52일간 최고가 + 최근 52일간 최저가) / 2
후행스팬 = 현재의 가격을 26일 뒤쪽에 표시
일목균형표의 개념에서 중요한 점은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의 위치를 차트의 당일자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26일 앞' 즉 기존 거래일보다 선행한 위치에다 표시해야 한다는 점 이다.
예를 들어서, 오늘 1월 14일 기준의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는 26일 거래일 뒤인 대략 2월 15일 위치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공간에 색을 칠한 이 공간을 '구름' 이라고 부른다.
아래 사진에서 1번은 선행스팬 1, 2번은 선행스팬 2이고, 3번은 두 선행스팬 사이의 공간인 구름이다.
참고로 이 구름은 일목균형표에서만 찾을 수 있는 개념으로 다른 기술적 분석기법이나 지표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일목균형표의 해석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해석 방법은 크게 4 가지가 있다.
기준선과 전환선의 움직임을 활용하여 가격을 예측하는 것 이다.
전환선은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추세의 '전환'을 알려주는 선이다.
하락하고 있던 전환선이 상승한다면 그때를 기점으로 하여 추세가 상승세로 전환했다고 판단하며,
반대로 상승하고 있던 전환선이 하락세로 바뀐다면 그때를 기점으로 일목균형 지표 하여 추세가 하락세로 전환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기준선 또한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추세의 '기준'이 되는 선으로, 기준선의 방향을 통해 투자자들은 추세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이 기준선이 상승하고 있다면 현재의 추세는 상승세,
반대로 기준선이 하락하고 있다면 현재의 추세는 하락세로 해석할 수 있다.
기준선과 주가의 관계에서도 추세를 파악 할 수 있다.
기준선은 과거 26일 동안 주가의 중간값이니 주가를 항시 뒤따른다.
기업의 추세가 상승세일 때에는 가격이 먼저 오르고, 그 뒤를 기준선이 따라가며
반대로 하락세일 때에는 가격이 먼저 하락하고 기준선이 뒤를 잇게 된다.
그러므로 주가가 기준선 위쪽에 위치하고 있다면 현재의 추세는 상승세인 것이고,
반대로 주가가 기준선 아래쪽에 위치한다면 현재의 추세는 하락세로 판단할 수 일목균형 지표 있다.
일목균형표의 독특한 개념인 선행스팬 1과 선행스팬 2의 위치, 그리고 이들 사이의 공간으로 만들어지는 구름과의 관계로도 추세 파악이 가능 하다.
현재의 주가가 구름 위에 있다면 상승세이고, 반대로 주가가 구름 아래에 놓여 있으면 현재의 추세는 하락세로 판단된다.
구름은 지지선이나 저항선으로 작용 하기도 한다.
주가의 상승세가 주춤거리면서 하락하더라도 구름 근처에 머무르면 구름이 지지선으로 작용하기도 하고, 그 결과 주가가 반등하는 일도 발생한다. 하락의 경우도 같다.
아래 사진에서 검은색 사각형을 보듯이 구름이 지지선 역할을 한 것을 볼 수 있다.
구름의 지지선 활용
4)
마지막으로, 후행스팬이 있다. 이는 단순하게 당일의 종가를 26일 뒤로 옮겨 표시한 것 으로,26일 전의 종가와 현재의 종가의 비교를 통해 상승추세인 지 하락 추세인 지 파악을 가능하게 해 준다.
현재의 추세가 상승세라면 당연히 당일의 종가는 26일 전의 종가보다 높아야 한다.
즉, 후행스팬은 추세를 예측하기보다는 기존의 추세를 확인하는 목적 으로 사용되는 게 일반적이다.
아래 사진에서 1번은 현재의 주가를 26일 전 위치로 옮겨놓은 것이고, 2번은 26일 전 주가이다.
1번이 2번보다 위에 있으니 이 종목은 상승세로 해석할 수 있는 것이다.
일목균형표를 활용한 매매
일목균형표를 활용한 매매에는 3가지 정도가 있다.
첫 번째는 전환선의 방향에 따라 매수 또는 매도를 결정하는 방법 이다.
전환선은 추세의 전환을 가장 먼저 알려주는 지표로, 그것의 방향에 따라 매매한다면 매매 타이밍으로 빠른 시점을 포착할 수 있다.
즉, 전환선이 하락하다가 상승세로 바뀐다면 즉각 매입하였다가 상승하던 전환선이 하락세로 바뀌면 빠르게 매도하는 것 이다.
사진에서 검은색 사각형 안에 초록색 전환선이 횡보하다가 상승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때 매입 타이밍으로 볼 수 있다.
전환선 상승 전환
이 매매법의 단점은 추세의 전환이 빠르기 때문에 자주 거래를 해야 하며,
추세 전환의 기미가 보이면 매수할지 매도할지 일목균형 지표 빠르게 판단을 내려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승 또는 하락이라는 명확한 추세가 아닌 횡보할 때라면 매매 타점을 잡기 어렵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두 번째는 기준선과 전환선의 교차를 이용하는 방법 이다.
전환선은 최근 9일간의 중간값이고, 기준선은 최근 26일간의 중간값이다.
즉, 이는 이동평균선의 골드크로스와 데드크로스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전환선이 기준선을 상향 돌파한다면 최근 9일의 중간값이 최근 26일의 중간값을 넘었다는 뜻 으로
매입 타이밍이 될 일목균형 지표 수 있다 (이동평균선의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개념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아래 사진에서 기준선과 전환선이 교차되므로 매수 타이밍으로 해석할 수 있다.
기준선과 전환선 교차
세 번째 방법은 구름을 이용하는 것이다.
주가가 구름 위에 있으면 상승세이고, 주가가 구름 아래에 있으면 하락세이다.
따라서, 주가가 구름 일목균형 지표 아래에 있다가 서서히 상승하여 막 구름 위에 올라섰을 때 매수 타이밍을 노려볼 수 있고,
반대로 구름 위에 위치하던 주가가 하락하여 구름 아래로 가게 되면 매도 타이밍이라고 볼 수 있다.
아래 사진에서 구름 아래 한참있던 주가들이 이제 막 구름 위로 올라오기 시작했으니 매수 타이밍이 될 수 있다.
구름 활용
일목균형표는 장기, 중기, 단기매매 모두 활용할 수 있으며, 추세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대부분의 기술적 분석과 지표들은 후행성이지만, 일목균형표는 그나마 덜하다.
내가 생각하는 유일한 단점은 이동평균선과 함께 사용하게 되면 차트가 굉장히 복잡해 보이고 헷갈리다는 점이다.
개인적으로 일목균형표의 신뢰도와 안정성은 높다고 생각되며, 사용 시 이동평균선과 분리하여 사용하면 나름대로 유용하다는 생각이 든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