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 추세 전략
Acrobat Distiller 7.0 (Windows)
PScript5.dll Version 5.2 2013-12-23T11:11:13+09:00 2013-12-23T11:11:13+09:00 application/pdf 1PC uuid:c2f03846-edd5-4bce-92e5-0dd9f8fdec7c uuid:30a2b121-1646-4c95-9ba3-d96d0c6f6e5f endstream endobj 79 0 obj )>> endobj xref 0 80 0000000000 65535 f 0000185235 00000 n 0000185361 00000 n 0000185475 00000 n 0000192226 00000 n 0000192352 00000 n 0000192486 00000 n 0000199084 00000 n 0000199210 00000 n 0000199324 00000 n 0000206370 00000 n 0000206499 00000 n 0000206668 00000 n 0000341100 00000 n 0000374045 00000 n 0000374278 00000 n 0000374460 00000 n 0000374745 00000 n 0000374874 00000 n 0000375022 00000 n 0000378788 00000 n DMI 추세지표와 투자전략 0000378917 00000 n 0000379054 00000 n 0000397677 00000 n 0000397806 00000 n 0000397974 00000 n 0000421583 00000 n 0000421712 00000 n 0000421849 00000 n 0000547060 00000 n 0000563805 00000 n 0000564061 00000 n 0000564275 00000 n 0000564592 00000 n 0000564721 00000 n 0000564847 00000 n 0000573258 00000 n 0000573387 00000 n 0000573503 00000 n 0000577044 00000 n 0000577280 00000 n 0000586084 00000 n 0000586266 00000 n 0000586404 00000 n 0000586611 00000 n 0000586770 00000 n 0000586965 00000 n 0000587790 00000 n 0000587894 00000 n 0000588109 00000 n 0000588298 00000 n 0000588594 00000 n 0000588840 00000 n 0000606912 00000 n 0000607254 00000 n 0000607501 00000 n 0000629704 00000 n 0000629845 00000 n 0000630129 00000 n 0000631166 00000 n 0000631423 00000 n 0000668920 00000 n 0000669048 00000 n 0000669177 00000 n 0000669422 00000 n 0000672917 00000 n 0000673033 00000 n 0000673419 00000 n 0000673584 00000 n 0000673722 00000 n 0000677952 00000 n 0000677987 00000 n 0000678011 00000 n 0000678071 00000 n 0000678198 00000 n 0000678264 00000 n 0000678297 00000 n 0000678526 00000 n 0000678609 00000 n 0000682263 00000 n trailer > startxref 116 %%EOF
지표 추세 전략
시장에서 큰 추세가 시작되고 끝날 때는 변동성이 커집니다. 하지만 이는 피상적이로 일시적일 뿐입니다. 기술적 분석가들 중에서도 추세추종 트레이더들은 시장의 타이밍이나 방향을 예측하지 않습니다. 그저 시장의 움직임에 대응할 뿐입니다. 투자로 큰돈을 벌려면 파도처럼 밀려오는 시장의 추세를 타야만 합니다. 거세게 밀려왔던 추세가 사라지기 전까지 이를 이용해서 가능한 한 많은 수익을 얻어내야 합니다. 움직이는 추세는 움직이는 상태로 유지되며 이러한 추세가 꺾일 때까지 계속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래서 현 시점에서의 추세를 판단하는 능력은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그리고 정확한 규칙을 세우고 따르겠다는 투자자들의 의지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추세 판단에 용이하게 사용되고 있는 DMI 지표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합니다.
목차
DMI란?
시장은 추세적 시장(Trend market)과 비추세적 시장(Non-trend market)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추세적 시장 이란 시장이 강세 또는 약세라는 추세를 가지고 있는 시장으로 포지션을 다음날로 이월시키는 Position Trading 에 의해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비추세적 시장 이란 장중에 일정한 박스권 내에서 매매하는 Day Trading 에 적합한 상황을 말합니다.
따라서 추세추종형 또는 횡보형 투자 전략을 사용하고자 DMI 추세지표와 투자전략 하는 경우, 현재의 시장이 추세적 시장인지 비추세적 시장인지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 합니다 .
즉 상승 추세인지, 하락 추세인지, 또는 횡보장 인지를 구분할 필요가 있는 것입니다. 또한 상승 추세 또는 하락 추세일 경우에도 그 추세의 강도가 어느 정도인지도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시장의 추세 및 그 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계량화한 것이 DMI 입니다.
DMI(Directional Movement Index, 방향운동지수)는 1978년 웰레스 와일더(J. Welles Wilder)에 의해 처음 소개된 것으로, 시장의 방향성과 추세의 강도를 계량화한 지표입니다. 웰레스 와일더는 1930년대에 태어난 미국의 기계 엔지니어로 부동산 개발자가 되었으며 기술 분석가가 되어 기술 분석 분야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습니다. 와일더는 현재 기술 분석 소프트웨어의 핵심 지표로 간주되는 여러 기술 지표의 아버지입니다. 여기에는 ATR(Average True Range), RSI(Relative Strength Index), ADI(Average Directional Index) 및 Parabolic SAR이 포함됩니다. -출처:위키피디아-
DMI는 ADX와 함께 시장의 방향성과 시장 추세의 강도를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 DMI는 개별적으로 사용할 때도 유용성이 높지만, ADX와 병행하여 사용하면 더욱 신뢰성을 높이게 됩니다.
DMI차트는 단기보다는 중장기 추세 판별 에 적합합니다.
+DI 는 실질적으로 상승 하는 폭의 비율을 나타내며, -DI 는 실질적으로 하락 하는 폭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의미
+DI와 -DI의 교차 의미
▶ +DI가 -DI보다 큰 국면은 상승추세, 작은 국면은 하락 추세로 규정할 수 있습니다. +DI가 -DI를 상향 돌파하는 시점에서 매수, +DI가 -DI를 하향 돌파하는 시점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합니다.
▶ +DI와 -DI의 교차를 매매신호로 이용할 때는 ADX를 같이 사용 해야 합니다. 즉, +DI와 -DI가 교차하는 시점에서 ADX가 20선 아래에서 진행되다가 다시 그 값이 커지거나 20선 을 돌파하는 시점에서 +DI와 -DI 중 값이 큰 지표 방향으로 매매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ADX값 상승 의미
▶ 현재 +DI와 -DI 중 위에 있는 지표의 방향대로 추세가 진행되며, 그 강도가 강화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기본 전제사항
DM (Directional Movement) 계산법
▶ DM은 시장이 상승 추세 라고 하면 금일의 고가 는 전일의 고가 보다 반드시 높아야 합니다 .
▶ DM은 시장이 하락 추세 라고 하면 금일의 저가 는 전일의 저가 보다 반드시 낮아야 합니다 .
▶ +DM과 -DM은 하루에 한 가지만 발생하여야 합니다.
▶ +DM과 -DM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둘 중의 큰 값 을 취하게 됩니다.
▶ DM은 금일의 주가 변동 범위, 즉 고가와 저가의 범위가 전일 주가 변동 범위를 벗어나는 부분 가운데 가장 큰 부분으로 정의됩니다.
투자 전략의 중요성 : 역발상이든 추세 추종이든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찾으시라
주식시황에 관한 용어들은 이제 개인투자자의 기본 상식이 되었습니다. 최근 증시 시황에 관하여 개인투자자분들이 오히려 실전 트레이더들보다도 더 많이 아시고 계실 것입니다. 하지만 시황에 대하여 잘 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투자 결과로 이어지지는 않지요.
그 이유는 결국 투자 결정에 필요한 기준이 없기 때문입니다. 이것저것 잡다하게 상황을 알고 있지만 “그래서 어쩔 건데?”라고 누가 DMI 추세지표와 투자전략 묻는다면 대답하지 못할 개인투자자가 대다수일 것입니다.
역발상 전략이든, 추세 추종 전략이든 합리적이기만 한다면 무엇이든 좋다.
투자 전략은 한 가지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지요. 투자 전략을 일일이 DMI 추세지표와 투자전략 세어본다면 무제한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너무 많은 투자 전략들이 존재하지만, 개인투자자 중 투자 전략을 세우고 실천하는 비율은 그리 높지 않은 듯합니다. 그저 “느낌과 감”에 의존하여 투자하는 경우가 다반사이지요.
하지만 투자 전략을 간단히 정의하고 하나씩 집고 내려가다 보면 자신만의 투자 전략을 찾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필자는 투자 전략은 크게 두 가지 성격이 있다고 봅니다.
하나는 주식시장의 방향과 반대쪽에서 투자 결정을 내리는 역발상적 투자(contrarian invest)가 있고 또 다른 하나는 주식시장 방향을 따라 투자하는 추세 추종 전략(Trend following)이 있습니다.
두 개념은 투자 결정 방식이 극단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역발상적 투자는 주가가 내리는 상황에서 주식을 매수하고, 주가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주식을 매도해 갑니다. 이때 군중심리는 주가가 하락할 때 냉랭해지고, 주가가 상승할 때 뜨거우므로 군중심리와 역행할 수밖에 없습니다.
대표적인 역발상적 투자는 가치투자가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자산 배분 전략 중 단순 비율 전략과 밸류 기반의 동적 자산 배분 전략들의 리밸런싱 과정들은 역발상적 투자 전략의 범주에 들어간다고 하겠습니다. 그 외 기술적으로는 스토캐스틱이나 심리도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이 있을 것입니다.
반대로 추세 추종 전략은 증시가 상승하면 불타기 하듯이 매수를 하며 주식 비중을 높이고 주가가 하락하면 반대로 주식 비중을 낮추면서 리스크 관리를 하지요. 추세 추종 전략은 군중심리의 방향과 같이 움직입니다. 시장이 뜨거울 때 주식 비중이 높고 시장이 차가워지면 냉정하게 주식 비중을 낮추게 되지요.
대표적인 추세 추종 전략으로는 가격 모멘텀 전략이 자산 배분 전략 형태로 많이 알려져 있고 기술적으로는 MACD나 이동평균선 활용 매매 방식이 있을 것입니다. 그 외 실적 성장세가 지속되는지 그 모멘텀을 추적하는 펀더멘털 측면의 실적 모멘텀 전략이 있습니다.
두 큰 범주에서의 투자 전략이 성격이 다르므로 투자자의 성향에 따라 자신에게 맞는 전략이 다릅니다. 문제는 투자자들의 투자심리 상태에 따라 전략을 그때 그때마다 바꾼다는 데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역발상 투자를 하겠다며 가치투자를 연구하던 투자자들이 하락장에서 갑자기 추세 추종 전략을 선호한다면서 투자 스타일을 바꾸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전략을 손바닥 뒤집듯이 바꾸게 되면 이도 저도 아닌 독이 되고 맙니다. 오히려 전략의 특징을 알고 자신에게 맞는 전략을 찾아가야 할 것입니다.
투자 전략의 특징 : 역발상 투자 vs 추세 추종 전략
역발상 투자와 추세 추종 전략은 방향성에 따라 투자 관점은 다르지만, 장기적인 성과를 결국 만드는 논리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역발상 투자는 저가에 싸게 매수하고 고가에 매도한다는 장점이, 추세 추종 전략은 추세를 타고 수익률을 극대화하고 하락장에서는 리스크를 관리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지표 제작 : lovefund이성수 ]
예를 들어 위의 추세 추종 전략 중 하나인 모멘텀 스코어 방식은 2020년과 21년 상반기와 같은 상승장에서 주식 비중을 높이면서 수익률을 극대화하고, 최근과 같은 하락장에서는 주식 비중을 낮추면서 수익률을 관리하기에 수익률 곡선이 계단식으로 형성됩니다. 상승 후 평탄~~
역추세 전략 중 하나인 시장 밸류 기반의 자산 배분 전략과 단순 비율 전략 또한 장기적으로 주가지수를 추월하는 높은 성과를 만듭니다. 특히 시장이 하락하였을 때 일정 부분 주식 비중을 높이고 반대로 시장이 상승했을 때 일정 부분 주식 비중을 낮추면서 BLASH(Buy Low And Sell High)를 간접적으로 실현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위의 두 투자 전략들이 무조건 좋다고 보일 수 있습니다만, 나름의 단점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어쩌면 이 단점이 투자자의 성향과 투자 전략이 맞는지를 결정하는 요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역추세 전략의 단점이라 한다면 하락장에서 주식 비중을 높이기 때문에 요즘과 같은 약세장에서는 바보짓하고 있는 것은 아니냐는 회의감에 빠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주식시장 활황기에는 주식 비중을 낮추니 이 또한 바보짓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추세 추종 전략의 단점이라 한다면 주가 추세에 속임수(휩소, Whipsaw)가 발생하면 매매 스텝이 꼬이면서 수익률이 악화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대표적으로 2010년대 한국 증시가 횡보장일 때 속임수 신호가 남발하면서 수익률이 악화하였습니다.
투자 전략 정답은 없다 : 다만 여러분들의 투자 철학에 맞게 연구하시라
투자 전략에는 정답은 없습니다. 어떤 시기에는 잘 맞아떨어지는 것 같지만 어떤 시기에는 잘못된 매매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위의 투자 전략의 큰 범주를 이해하시고 기준을 잡으신 후 하나씩 하나씩 투자 연구를 이어가시다 보면 여러분만의 투자 철학이 녹은 투자 전략을 완성하실 수 있으실 것입니다.
그리고 그 투자 전략을 강하게 지키십시오. 오늘은 추세 추종 전략 사용하였다가 마음이 바뀌었다고 내일은 역발상 전략으로 바꾸고 또 며칠 만에 마음이 틀어졌다고 추세 추종 전략으로 수시로 바꾼다면 여러분의 투자자금은 섣부른 전략 변경 속에 녹아 없어지고 있을 것입니다.
필자의 경우 역발상 투자 전략을 선호합니다만, 독자님들 중에는 추세 추종 전략을 좋아하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혹은 두 개념 모두 사용하고 싶다면 계좌 2개로 나누어 한 계좌는 역발상적 투자 전략을 사용하는 계좌로 다른 한 계좌는 추세 추종 전략을 DMI 추세지표와 투자전략 사용하는 계좌로 이용해 보실 수 있겠지요? (이를 투자론에서는 바벨 전략이라고 합니다.)
시황 연구할 시간보다 오히려 투자 전략 연구에 더 많은 시간을 투입하시는 게 실전 투자에 오히려 도움이 된답니다.
2022년 7월 19일 화요일
lovefund이성수 (유니인베스트먼트 대표, CIIA 및 가치투자 처음공부 저자)
[ 증시 토크 애독 감사합니다, 좋아요~추천^^ 부탁드립니다.]
[ “lovefund이성수”에 대한 관심 감사합니다.]
※ 본 자료는 투자자들에게 도움이 될만한 정보를 제공할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무단복제 및 배포할 수 없습니다. 또한 수치 및 내용의 정확성이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으며, 어떠한 경우에도 고객의 증권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DBpia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비밀번호를 변경하신 지 90일 이상 지났습니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비밀번호를 변경해 주세요.
간편 교외 인증 이벤트 응모
내서재 담기 논문보기 다운받기
저작권자 요청에 따라 무료로 제공되는 논문입니다. 로그인 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 키워드 목차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기술융합과정에서의 핵심기술은 무엇이며, 그 핵심기술을 지닌 기업은 누구인가? 그리고 이러한 기업의 기술 전략적 특징은 무엇인가?”라는 연구문제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즉, 기술융합에 있어서 핵심/주요기술 및 이에 관련한 기업들과, 이종 기술들 간 조정/통합과 제품으로의 구현을 실현하는 기술 및 관련기업들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기술융합의 메커니즘과, 관련 기술 보유기업들의 기술전략의 특성을 산업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인쇄기술이라는 기존기술과, 전자기술이라는 하이테크놀로지로서의 새로운 기술간 결합에 의해 발전한 인쇄전자 기술 분야를 융합기술 사례로 삼아 기업관점의 기술전략을 도출하였다.
방법론에 있어서, 특허인용 네트워크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개별기업 간의 기술지식의 흡수와 전수의 맥락에서 분석함으로써, 기술관점의 네트워크 연구를 기업관점으로 확장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특허서지정보 인용 네트워크 지표를 산출하여 기술 분야별 기업들의 네트워크상의 위치와 그 의미를 파악하였다. 또한, 기업 기술전략의 의미를 찾기 위하여 특허 포트폴리오 관점의 추가적 기술 전략적 지표들을 개발하여 전략군지도 형태의 기업 포지셔닝 및 행동궤적 맵을 작성하였다.
분석결과, 첫 번째, 핵심 및 주요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이 기업 네트워크에서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또한, 전략군지도에서도 자사가 보유한 핵심 기술에 대한 높은 집중도를 보이는 한편, 기술 원천 다양성은 비교적 낮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두 번째, 타 기술 간 조정/통합을 담당하는 기업들과 응용을 통한 제품화/상업화를 담당하는 기업들의 네트워크 중심성 역시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 기업들은 전략군지도에서 전반적으로 기술 원천 다양성과 함께 기술집약도도 높여가는 방향으로의 행동을 보였다. 즉, 이러한 기업들은 다양한 특허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기술융합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보다 동태적 관점에서 이종기술들의 진보의 속도나 정도에 맞추어 유연성 있는 기술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과 연구 구조는 향후 기업들의 기술경영과 혁신전략 진단 및 분석/평가 프레임워크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 특허전략에 대한 실무적 함의가 크다. #기술융합 #특허인용 네트워크 분석 #특허 포트폴리오 분석 #인쇄전자 #technological convergence #patent citation network analysis #patent portfolio analysis #printed electronics
추세추종과 역추세추종 전략의 비교
추세추종과 역추세추종 전략의 비교
추세란?
추세는 일종의 관성이라고 할 수 있다 . 물리적으로 관성은 움직이던 물체는 계속 움직이려 하고 , 멈춰있던 물체는 계속 멈춰있으려고 하는 것을 뜻한다 . 주가에서 추세가 이와 같다 . 즉 , 오르던 주가는 계속해서 오르고, 떨어지는 주식은 계속 떨어지려는 성질이 있는데 이를 추세라고 한다
추세 추종과 역추세 추종 전략의 장단점
우선 추세 추종과 역추세 추종의 손익과 손실을 제한하는 구조를 확인해 보아야 한다 . 오르거나 내리는 방향성을 유지하려는 추세의 특성을 생각해 볼 때 추세 추종 전략의 경우 오를 때 사고 , 떨어질 때 팔기 때문에 수익은 제한하지 않으면서 손실은 제한하는 구조 이다 . 즉 수익에 대한 방향은 무한히 열려있는데 손실에 대한 방향은 어느정도 제한이 되어있다는 것이다 .
반대로 역추세 추종의 경우 떨어질 때 사서 오를 때 팔기 때문에 수익은 제한하고 손실은 제한하지 않는 구조 이다 . 수익에 대한 방향은 어느정도 제한을 해놓으면서 손실에 대한 방향은 무한히 열어 놓는 것이다 .
주가가 한 방향으로 추세를 이루지 못하고 박스권에서 횡보하는 경우는 역추세 전략이 추세 전략에 비해 수익을 얻을 확률이 높다 .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았을 때 추세 추종 전략을 따르는 것이 수익을 내게된다 . 왜냐하면 큰 추세가 한 번 지속되면 그 움직임의 폭은 제한이 없기 때문이다 . 즉 , 수익이 날 때 큰 추세를 만나면 수익의 폭에는 제한이 없다 . 박스권에서 입은 자잘한 손실은 큰 추세의 커다란 수익에 의해 충분히 상쇄된다 .
주가가 한 방향으로 추세를 이루지 못하고 박스권에서 횡보하는 경우는 역추세 전략이 추세 전략에 비해 수익을 얻을 확률이 높다.
상승장, 하락장 구분 기준
상승장과 하락장의 절대적인 구분 기준이 있는 것은 아니다 .DMI 추세지표와 투자전략 투자자가 각기 정하기 나름이다 . 어떤 투자자는 20 일 이동평균선을 기준으로 생각할 수도 있고 , 60 일 이동평균선 , 120 일 이동평균선 등 다양한 기간에 대해 기준을 잡을 DMI 추세지표와 투자전략 수 있다 . 또는 당일 주가가 3 개월 평균보다 높으면 상승추세로 생각할 수도 있다 .
완벽한 기준은 없을뿐 아니라 중요하지도 않다 . 합리적으로 추세의 기준을 만들었다면 기준이 되는 기간이나 DMI 추세지표와 투자전략 기준점에 상관없이 추세 추종 전략을 이용할 수 있고 장기적으로 투자했을 때 수익이 날 수 밖에 없다 .
추세 추종의 이해
추세 추종 전략은 주가가 현재 추세와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할 것으로 가정한다. 그러한 전략에는 종종 수익을 고정시키거나 추세 반전이 발생할 경우 큰 손실을 피하기 위해 익절 , 손절 기준이 포함되어 있다 . 추세 추종 전략은 단기 , 중기 , 장기 투자자들이 이용한다 .
투자자들은 추세 방향과 그것이 언제 바뀔지 결정하기 위해 가격 움직임과 다른 기술적 도구를 모두 사용한다 .
추제 추종 전략을 사용하는 투자자들은 차트에서 가격 움직임을 살펴본다 . 투자자들은 상승추세를 위해 최근 전고가 이상으로 가격이 움직이는 것을 보고 싶어하며 , 가격이 하락할 때는 전저점 이상으로 유지되기를 기대한다 . 이는 가격이 오르내리더라도 전체적으로는 상승했음을 보여준다 .
하락세에도 같은 개념이 적용되는데 , 투자자들은 가격이 전체적으로 낮고 낮은 고점을 만드는지를 주시하고 있다 . 그런 일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을 때 , 하락세가 끝나게 되고 , 따라서 추세를 추종하는 투자자들은 매수를 시작할 것이다 .
추세 추종 전략은 주가가 현재 추세와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 이동할 것으로 가정한다 .
추세 추종 전략
각각 다양한 지표와 가격 행동 방식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추세 추종 전략이 많다 . 모든 전략의 경우 , 손절은 위험 관리에 사용되어야 한다 . 상승 추세의 경우 정지 손절가는 매수 전에 발생한 전저점 또는 지지선 이하로 잡는다 .
이동 평균을 추세 추종 전략에 이용할 수도 있다 . 예를들어 단기 이동 평균이 장기 이동 평균을 초과할 때 긴 위치로 매수하거나 , 단기 이동 평균이 장기 이동 평균 아래로 교차할 때 숏포지션으로 진입하는 것이 포함된다 . 또한 , 가격이 이동 평균 이상일 때 상승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도 있고 가격이 이동 평균보다 낮을 때 하락 추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 .
모멘텀 지표 : 모멘텀 지표와 전략이 많다 . 추세 거래와 관련하여 , 상승 추세를 찾은 다음 상대 강도 지수 (RSI) 를 사용하여 들어갈지 말지 정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 예를 들어 , 투자자는 RSI 가 30 아래로 떨어졌다가 올라가기를 기다릴 수 있다 . 이는 전반적인 상승 추세가 그대로 유지된다고 가정할 때 롱포지션의 잡을 신호로 삼을 수 있다 . 이 지표는 가격이 떨어졌지만 전반적인 상승세에 맞춰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
투자자는 RSI 가 DMI 추세지표와 투자전략 70 또는 80 이상으로 상승했다가 다시 사전에 정한 수준 아래로 떨어질 때 빠져나갈 수도 있다 .
역추세 추종 전략
역추세 추종 전략은 추세 추종과 반대로 시장에 접근한다 . 역추세 추종 전략을 사용하는 투자자는 가격이 하락할 때 주식을 사고 가격이 상승할 때 주식을 팔게 되는데 , 이것은 추세 추종 전략을 쓰는 투자자들이 하는 것과 반대되는 것이다.
0 개 댓글